심혈관계 국제 학술지·일본심장학회지 등에 기고
좌심방 섬유화 및 배출 속도, 심방세동 재발률과 상관관계 확인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심장외과 교수팀이 흉강경 부정맥 수술 후 심방세동 재발 예측 지표를 발표했다.
흉강경 부정맥 수술은 가슴 주변에 구멍을 낸 후 흉강경을 삽입해 심장 내 부정맥 발생 부위를 고주파로 절제하는 방식이다. 기존 절제술 대비 안정성·합병증 발생률 감소 등을 확보한 수술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지난 2012년부터 2015년간 삼성서울병원에서 심방세동으로 인해 흉강경 부정맥수술을 받은 환자 12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수술 전 심장초음파, 경식도 심장초음파 등 데이터를 기반으로 좌심방 압력과 좌심방 배출 속도 수치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비침습적 진단 검사 모델을 통해 좌심방 조직 섬유화 수준이 낮을수록 심방세동 재발 위험도가 낮은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좌심방 스트레인 수치와 좌심방 조직 섬유화 수준과의 상관관계를 증명한 것이 해당 연구 결과 근거다. 연구팀은 이 과정에서 평균 5년간 심방세동 재발률을 경증·중등도·중증 등으로 비교군을 세분화해 조사했는데, 경증 좌심방 섬유화군 23.3%, 중등도 51.4%, 중증 53.2%가 재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에 “좌심방 스트레인 수치로 섬유화 정도를 나눌 수 있고, 이를 이용해 재발 위험을 예측하는 단초를 얻었다”고 밝혔다.
더불어 경식도 심장초음파 검사를 통해 재발 위험을 예측하는 모델도 개발됐다. 경식도 심장초음파 검사는 부정맥 시술 전 필수 절차로, 연구팀은 좌심방 배출 속도에 따라 정상·중감·저하 등으로 비교군을 나눠 각 군별 재발률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에서 전체 수술 환자의 3년 이후 정상박동 유지율은 65.3% 수준이었는데, 좌심방이 배출 속도가 정상군 대비 저하군은 심방세동 재발 위험 6.11배, 중간군은 2.7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수술 이후 심방세동 재발을 예측할 수 있는 좌심방이 배출 속도는 21cm/s로 확인됐다. 해당 수치보다 낮으면 수술 이후 심방세동 재발률이 75%로, 21cm/s 이상인 비교군인 25% 대비 크게 높았다.
연구팀은 해당 모델을 심혈관계 국제 학술지(Frontiers in Cardiovascular Medicine)와 일본심장학회지(Circulation Jouranl) 최근호에 게재했다.
박성지 삼성서울병원 심장뇌혈관병원 교수는 “해당 모델은 치료의 새 이정표를 제시한 것”이라며 “앞으로 흉강경 부정맥 수술 예후를 보다 정확히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모델”이라고 평가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