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항공소재 업계가 항공 소재 81종의 국산화에 성공했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14일 항공소재개발연합이 전날 경남 사천 본사에서 개최한 기술교류회를 소개하며 국산화 개발 성과를 전했다.
항공소재개발연합은 2019년 국내 항공우주산업 발전과 소재 국산화를 위한 협력체계 구축을 목표로 출범했다. 기술교류회에는 KCC, 한스코, 고려용접봉 등 신규 7개 업체가 동참해 현재 KAI를 포함 37개 업체·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KAI는 소재 국산화 추진 결과 알루미늄 압출재와 티타늄 압연재, 분말 등 항공 소재 30여종과 기계류, 전장류, 배관류의 표준품 50여종 등 총 81종을 국산화했다고 밝혔다.
1800여종의 소재와 표준품 가운데 2030년까지 사용 빈도가 높은 상위 50% 품종(900여종)을 국산 소재로 대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이를 통해 약 7500억원의 수입 대체 효과가 기대된다고 KAI는 설명했다.
항공용 소재는 가벼우면서도 높은 강도와 내구성, 내열성 등 특성을 갖춰 레이더, 엔진, 스텔스 기술과 함께 기술 이전이 제한되는 핵심 기술로 분류된다. 국산화에 성공하면 공급 안정을 통해 원가 경쟁력은 물론 생산 일정 단축, 운송비 절감 등으로 수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부가 가치가 커 경제 효과와 고용 창출 효과도 크다.
KAI는 국내 항공용 소재 시장은 현재 1조1200억원 규모로, 시장 규모는 매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강구영 KAI 사장은 "항공 소재 수요는 지속해서 늘어날 전망"이라며 "국산 소재가 해외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품목 확대와 개발을 도와 미래 무인기, 도심항공교통(UAM), 위성, 발사체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