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착용형 로봇 ‘들봇(BEULBOT), 최대 20kg 다루는 롤업(Roll-up) 방식 차용
농업 현장 인력난·고령화 대응하는 기술로 기대받아
한국로봇융합연구원(KIRO)이 농작업 시 부담을 경감하는 웨어러블 로봇 기술을 관련 기술 업체 ‘고이버(Goiver)’에 전수했다.
해당 기술은 KIRO 농업로봇자동화연구센터 연구팀이 개발한 솔루션이다. 고하중 물체 운반·적재 작업 보조를 위한 롤업(Roll-up) 방식의 상체 보조용 웨어러블 슈트다. 이번 기술 이전을 통해 ‘들봇(DEULBOT)’의 제품명으로 사업화가 추진된다.
들봇은 고강도 와이어를 차용해, 최대 20kg의 고하중을 보조할 수 있다. 원터치 작동과 무선 리모컨 기능을 담은 가방 형태의 착용형 제품으로, 10초 이내 빠른 착용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배터리 교체형 설계로 장시간 작업에도 제약 없이 활용 가능한 점도 주목 포인트다.

고이버는 현재 들봇의 제품화 핵심 과제로 규제 해소에 집중하고 있다. 들봇이 현행 농기계 분류 체계에 포함되지 않아 관련 인증을 받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관계자에 따르면, 농기계는 통상적으로 정부 지원을 통해 유통되지만, 들봇은 이러한 인증 없이는 보조금 대상에서 제외된다. 또한 제품 안전성을 검증할 표준 시험 절차도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농기계 인증 제도에 대한 해석 및 절차 정비, 규제 발굴 및 시험평가 기준 마련, 정부 지원 대상 편입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수립 등 다각적인 대응을 통해 제도 개선에 나서고 있다.
김정대 고이버 대표는 “고령화로 인해 농촌의 노동력 부족 문제가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들봇은 농작업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여줄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이라며 “제도 정비와 실증 확대를 병행해 실제 현장에 빠르게 보급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정구봉 KIRO 원장 직무대행은 “이번 기술 이전은 농업 현장에서 농민들의 삶을 바꾸는 의미 있는 성과”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실용적이고 현장 중심의 로봇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민간과의 협력을 통해 상용화 및 제도화를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