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산업동향

배너

日반도체장비 수출통제 강화…국내업계, 큰영향 없을 것으로 전망

URL복사
[선착순 마감 임박] AI분야 특급 전문가들과 함께 AI로 우리 기업의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는 방법을 공유합니다. AI 융합 비즈니스 개발 컨퍼런스에서 확인하세요 (5/3, 코엑스3층 E홀)

 

"동맹국 공장 문닫게 하려는 목적 아냐…협의 가능"


미국이 주도하는 대(對) 중국 반도체 수출 통제에 일본이 사실상 동참하기로 한 데 대해 국내 반도체 업계에서는 우리 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일본 정부는 31일 첨단 반도체 관련 물품 수출에 경제산업상의 허가가 필요한 품목을 확대하기 위해 관련 법률의 하위 규정을 개정한다고 발표했다.

 

일본 정부는 중국을 명시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정황상 미국의 대중 반도체 첨단 장비 수출 규제에 보조를 맞춘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미국이 일본과 네덜란드에 수출 규제 동참을 요청했기 때문이다. 네덜란드 역시 이달 초 반도체 기술 수출에 대한 통제를 강화한다고 밝혔다.

 

일본의 수출 통제 대상 품목은 섬세한 회로 패턴을 기판에 기록하는 노광장치, 세정·검사에 사용하는 장치 등 23개다.

 

노광장치에 쓰이는 포토마스크 검사 장치 등 일부 반도체 장비는 일본 기업이 세계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는 만큼 국내 기업도 많이 사용한다.

 

극자외선(EUV) 공정용 장비를 생산하는 일본 도쿄일렉트론의 경우 네덜란드 ASML 등과 함께 세계 5대 반도체 장비 업체로 꼽힌다.

 

중국에 생산 거점을 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업체들은 상황을 예의 주시하면서도 공장 가동에 별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본다.

 

일본의 이번 조치에 대해 한 업계 관계자는 "국내 업계에 큰 영향은 없을 것 같다"며 "규정이 있더라도 허가나 예외 조항 등 여러 방법으로 협의하고, 공장 운영에 차질 없도록 잘 풀어나갈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규제는 중국 반도체 산업을 견제하려는 목적으로, 동맹국 공장을 문 닫게 하려는 목적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작년 10월 미국 정부는 국가 안보를 이유로 중국의 첨단 반도체 생산을 막겠다며 중국을 겨냥해 장비 수출 규제를 시작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중국 공장에 대해 일단 1년간 규제 유예 조치를 받은 상태다.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과 쑤저우에서 각각 낸드플래시 생산 공장과 반도체 후공정(패키징) 공장을 운영 중이다.

 

SK하이닉스는 우시 D램 공장, 충칭 후공정 공장, 인텔로부터 인수한 다롄 낸드 공장을 운영한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