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일반뉴스

배너

산업부, 우주항공 분야 탄소소재 국산화 적극 추진키로

URL복사
[선착순 마감 임박] AI분야 특급 전문가들과 함께 AI로 우리 기업의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는 방법을 공유합니다. AI 비즈니스 개발 융합 컨퍼런스에서 확인하세요 (5/3, 코엑스3층 E홀)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2월 18일 서울 밀레니엄 힐튼 호텔에서 탄소소재산업 및 우주항공산업 관계자가 함께 참석하는 간담회를 갖고 우주항공 시대에 대응한 탄소소재산업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탄소소재가 우주항공산업의 핵심 소재인 만큼 우주항공 시장 현황, 탄소소재 개발 동향 등을 공유하고 국내 탄소소재 기업들의 우주항공 시장 진출을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했다.

 

첨단기술이 집약된 시스템 산업인 우주항공 분야는 최근 UAM의 등장, 민간기업이 우주산업을 주도하는 '뉴스페이스' 시대의 도래 등으로 대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세계 우주항공산업 시장규모는 2019년 1조31억달러 수준에서 2030년 1조3,490억달러로 성장할 전망이다.

 

탄소소재는 초경량, 고강도, 온도 변화에 대한 형상 안정성 등 우수한 물성을 바탕으로 항공기 동체·날개, 인공위성 발사체, 탐사선 동체 등의 핵심 소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우주항공산업 성장으로 탄소소재 수요 증가가 기대된다.

 

우리나라의 탄소소재 역량은 세계 4위(일본-미국-독일-한국) 수준으로 대표적 소재인 탄소섬유는 2013년 세계 3번째로 양산에 성공하는 등 선진국 대비 80%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현재 범용·고강도 탄소섬유(강도 4.9~5.6Gpa)는 자립화를 달성하여 국내 기업에서 생산 후 수소 저장용기, 풍력발전 날개 등 제조를 위해 공급되고 있으나, 우주항공용 초고강도 탄소섬유(강도 6.4Gpa 이상), 발사체 노즐용 인조흑연 등은 일본 등 선진국에서 대부분 수입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날 간담회 참석자들은 국내 우주항공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고품질 탄소소재 개발 및 양산을 통해 ‘소재-부품-완제품’ 전주기 역량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중장기 R&D를 통한 기술력 확보도 중요하지만 탄소소재가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실증·신뢰성 평가 지원도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산업부 최우석 국장은 “산업부는 탄소소재 융복합산업 종합발전 전략에서 우주항공 분야를 ‘탄소소재 5대 핵심 수요산업’으로 선정하고 탄소소재 융복합 얼라이언스 운영을 통해 관련 기술개발, 실증지원 등을 추진해 왔다”고 언급하며,  “앞으로 우주항공 분야의 탄소소재 6대 핵심기술이 확보되도록 K-Carbon 플래그십 기술개발 사업(’24~’28년 5천억원, 예타사업 기획 중) 추진 등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헬로티 조상록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