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역설계는 설계 데이터가 없는 실물의 형상을 3D 스캔 장비로 측정하고 디지털화된 형상 정보를 기반으로 CAD에서 사용 가능한 3D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술이다. 리버스 엔지니어링(Revers Engineering) 이라고도 한다.
결국, 역설계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도면이 없기 때문인데, 3D 측정 데이터를 이용해 정밀한 형상 재현에 적합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델링 기술이 역설계의 가장 핵심적인 기술이라고 보면 된다.
본지는 3D시스템즈 이지훈 본부장과 함께 쉽게 이해하는 3D 역설계 살펴보고자 한다. 3D 역설계 2편에서는 3D 역설계 전용 소프트웨어가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겠다. 기업에서 역설계 소프트웨어가 꼭 필요한 상황들을 짚어보고, 왜 역설계 전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유를 정리해 본다. 이를 통해 3D 역설계 전용 소프트웨어의 사용 노하우 or 팁을 전달하고자 한다.
Q. 제품개발에 여러 단계들 일반적인 단계들에서 역설계가 각 단계 포인트별로 적용이 될 수 있지요?
⇒ 네 맞습니다. 지금 왼쪽에 보는 프로세스가 일반적인 제품개발의 프로세스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 결국 개념이라는 것은 컨셉이라고 이해를 하면 되고요. 컨셉을 잡고 설계를 하고 그 다음 실제 생산하고, 제조를 하고 그 제조된 제품을 또 어떻게 유지보수를 할 것이며, 어떻게 다시 데이터를 활용한 할 것인지에 대한 일련의 프로세스들인데.. 각 프로세스, 각 단계에 역설계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개념 단계에서 보면, 기존에 제품이 있지만 설계 데이터가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오래되어서, 그런 경우에 기존 제품에서부터 다시 역설계 기술을 적용해서 시작을 할 수가 있고 또는 경쟁사 제품을 벤치마킹하는 경우에도 적용을 할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설계단계에서는 당연히 제품도 있고 설계 데이터도 있지만 기존 제품의 설계 데이터를 변경해서 다시 수정을 해야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설계변경을 하는 경우 그리고 목업과 같은 프로토타입에 대해서 변경사항을 업데이트하고 설계 데이터를 만드는 경우에도 역설계 기술이 활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제조단계에서는 툴링 개발을 가속화한다던지 제조 공정이나 프로세스를 반영을 해서 설계 데이터를 조금 보완을 해야 되는 경우에도 활용할 수 있고 그다음에 오래된 부품을 교체해야 되는 경우 이런 경우에는 유지보수의 단계로 볼 수 있는데 교체 부품을 만드는 경우, 그리고 유지보수를 위해서 교체 부품들의 디지털 데이터를 만드는 경우도 역설계를 적용을 할 수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처리 및 재사용 단계에서는 지적재산권을 활용한다던지 생산되는 부품들의 캐드 데이터를 목록화 해서 데이터베이스와 해서 활용을 하는 목적으로도 적용을 할 수가 있습니다.
Q. 지금 말씀해 주신 제품 개발의 여러 단계에서 역설계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는 건데, 역설계가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역설계 소프트웨어를 말씀을 해 주시는 건지 아니면 3D 스캐닝부터 적용되는 부분을 설명하는 건지. 소프트웨어적인 부분들을 지금 말씀해 주신 거 같은데요
⇒ 네 역설계 기술이라는 것은 사실은 역설계 소프트웨어라고 명시를 하지 않고 역설계 기술이라고 명시를 하는 이유는 역설계라는 작업 자체가 기본적으로 3D 스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고 그 데이터는 3D 스캐너에서 나오게 돼 있습니다.
그래서 3D 스캐너와 역설계 소프트웨어를 통칭해서 역설계 기술 또는 역설계 솔루션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Q. 제품의 개발 과정에서 어떤 이유에서든 역설계를 사용해야 되는 역설계가 꼭 필요한 상황들이 있지요? 그 상황들을 한번 설명을 해 주시죠
⇒ 보통 한 다섯 가지 정도로 분류를 해 봤는데 큰 이유는 캐드 데이터가 없는 경우입니다. CAD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2D만 가지고 있거나 또는 3D 데이터가 최신 데이터가 아니라 오래된 3D 데이터인 경우에는 사실은 설계를 처음부터 다시 해야 되는데, 이 경우에 역설계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라는 거고요.
그리고 수공구를 이용해서 측정 하는 경우에는 정확도가 많이 떨어지고 시간도 많이 걸립니다. 그래서 이러한 경우에도 역설계 기술을 적용을 해야 됩니다.
또 하나는 설계 의도의 파악없이 단순하게 형상 정보만 취득을 했습니다. 앞서 제가 역설계 정의에 대해서 말씀드릴 때 형상 정보 뿐만 아니라 설계자의 의도도 파악해야 된다고 했는데 형상 정보만 취득하는 것은 실제 도움이 되질 않습니다.
그리고 역설계 전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게 최적인데 그렇지 않고 기존에 있는 소프트웨어를 활용하기 위해서 조금 더 어려운 방법으로 돌아가는 경우, 결국에는 부적합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경우도 제품개발에서 문제라고 인식을 할 수가 있고요
그리고 마지막 단계가 사실은 어떻게 보면 가장 마지막 단계이기는 하지만 가장 큰 요소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장비를 도입하고 솔루션들을 도입해야 되는데 그 솔루션을 도입하기에는 비용적인 부분이나 이런 부분들이 부담이 되기 때문에 사실은 그 장벽을 넘어서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Q. 그러한 이유들로 인해서 역설계 기술이 필요한데 역설계 기술이 필요해서 도입한다는 것은 그만큼 역설계 기술 자체가 다른 여타 기술이나 경쟁 기술에 비해 어떤 이점이 있기 때문이죠?
⇒ 당연히 역설계라는 것은 설계 데이타가 없거나 오래된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개념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실제 CAD 환경을 좀 개선해 줄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CAD 환경에서부터 설계자의 설계 역량을 확장하는 부분 단순하게 설계를 하는 것이 아니라 결국에는 역설계까지 비즈니스 영역을 확장한다라는 개념으로 볼 수가 있고요. 그리고 시간 단축, 비용절감은 당연히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 필요한 요소입니다.
그리고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자사의 제품이라든지 자사의 오래된 도면설계 데이터를 활용한다라는 개념에서 기존 자산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라는 이점을 가지고 있고요.
가장 큰 부분은 불가능을 가능으로라고 표현을 해 놨는데 사실은 이전에는 불가능하지 않았던 기술들인데 지금 현재로는 역설계 기술을 도입했을 경우는 가능한 기술이라는 제일 큰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Q. 6가지의 역설계 기술 도입 이점을 봤을 때 역설계 도입 결코 주저할 필요가 없을 것 같은데요.
⇒ 네 맞습니다.
[스마트공장사용설명서-3D 역설계 3편]에서는 3D 역설계 전용 소프트웨어의 필수적인 기능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Copyright ⓒ 첨단 & 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