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임근난 기자 |
고객 니즈가 다양화 및 고도화됨에 따라 제조업에서는 자동화, TCO(Total Cost of Ownership) 절감 및 품질향상에 더해 변종변량 생산 등 새로운 제조업을 지향하는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또한, 센싱 기술의 발전, 네트워크의 고속화, 클라우드 에지 컴퓨팅의 보급 및 AI(인공지능)의 진화 등 IT를 통해 데이터를 활용하는 데이터 구동형 사회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한 흐름 속에서 모든 것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최대한 활용하고 자율적이면서 최적의 제조를 목표로 하는 ‘스마트공장’의 실현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세계에서도 유럽의 인더스트리4.0이나 미국의 IIC(Industrial Internet Consortium), 중국의 지능 제조, 일본의 커넥티드 인더스트리 등 제조업에서의 IoT 활용을 위한 다양한 메가트렌드가 부상하고 있다.
스마트공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생산 현장의 데이터를 리얼타임으로 수집하고, 그 데이터를 에지 컴퓨팅으로 1차 처리한 상태에서 IT 시스템으로 심리스하게 전송하는 것이 중요하다.
생산 현장의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안정된 고속 제어 통신이나 IT 시스템에 대한 대용량 정보 전송이 가능한 네트워크가 필요하다. 즉, 생산현장에서의 산업용 네트워크와 IT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의 융합이 필수적이다. 또한, 생산 효율 향상을 위한 고속·고성능 제어의 실현도 시급해졌다.
CLPA(CC-Link협회)는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CC-Link IE TSN’을 선보였다. 기존 CC-Link IE의 특징을 계승하면서 시분할로 리얼타임성을 실현하는 TSN 기술을 채용하여 동일 간선상에서 복수의 다른 네트워크를 혼재시킬 수 있다. 또한, 효율적인 프로토콜로 정밀도가 높은 고속 모션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CC-Link IE TSN은 상위의 IT 시스템에서 생산 현장의 FA 시스템의 계층을 의식하지 않고, 심리스하게 연계하여 제조업에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활용을 확대할 수 있게 되었다.
CLPA는 CC-Link IE TSN의 보급을 통해 그림 1과 같은 커넥티드 인더스트리의 세계를 실현한다.
앞으로는 로컬 5G의 활용으로 생산 시스템의 구축이 더욱 단순하고 유연해진다. CLPA는 CC-Link IE TSN에 의한 네트워크 일원화와 로컬 5G 기술을 조합하여 새로운 공장의 이상적인 형태를 제안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FA(생산 현장)와 IT를 융합하여 사이버 공격 등의 위험에 대응하기 위한 보안 대책도 동시에 추진하여,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