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퀀텀 컴퓨팅 ‘애저 퀀텀’ 공개

2020.01.31 09:59:27

조상록 기자 mandt@hellot.net

[첨단 헬로티]


한국마이크로소프트는 1월 30일 광화문 본사에서 마이크로소프트의 퀀텀 컴퓨팅과 실제 파트너 사례를 소개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2004년 스테이션Q 퀀텀 컴퓨팅 연구소를 설립을 시작으로 지속적으로 양자 컴퓨팅을 연구하고 있다. 현재 미국 산타 바바라(Santa Barbara), 덴마크 링비(Lyngby)를 포함해 전세계 8개의 연구소에서 기관별 차별화된 연구 개발로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특히, 오픈 퀀텀 에코시스템으로 현존하는 복잡한 범국가적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도록 환경문제, 헬스케어와 같은 분야들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발표된 마이크로소프트 퀀텀 컴퓨팅은 ▲풀스택 오픈 클라우드(Full-stack Open Cloud) 에코시스템 ▲글로벌 퀀텀 네트워크 ▲애저 퀀텀으로 클라우드 상에서 바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미 2017년에 ‘큐샵(Q#)’을 포함한 퀀텀 개발 킷(Quantum Development Kit, QDK)을 발표했고, 이를 통해 퀀텀 솔루션을 학습 및 구축하는 데 필요한 모든 도구와 리소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퀀텀 개발 킷은 기존의 프로그래밍 개념을 퀀텀 컴퓨팅 개발 환경에 도입해 C언어, 파이썬에 익숙한 개발자가 퀀텀을 구현하도록 돕는다. 퀀텀 개발 킷은 이미 20만 회 이상 다운로드 되어 활용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러한 퀀텀을 클라우드 상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애저 퀀텀(Azure Quantum)을 프리뷰로 서비스하고 있고, 전세계 대학 연구소와 계열사, 스타트업 등 50개가 넘는 기관과 글로벌 퀀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퀀텀 컴퓨팅 간담회에서 발표하는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최고기술임원(NTO) 신용녀 박사


이날 마이크로소프트는 의료,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실제 적용 중인 파트너 사례들도 소개했다.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은 마이크로소프트의 퀀텀 알고리즘을 활용해 기존의 방식보다 3배 빠르게 스캔하고, 질병의 주요 식별자 판단을 30% 가까이 더욱 정밀하게 할 수 있게 됐다.


두바이 수전력청(DEWA)은 국가 차원의 전체 에너지 최적화를 위해 마이크로소프트와 퀀텀 기반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실시간 변하는 수요 예측 뿐만 아니라 기후 변화와 다양한 에너지 자원과의 관계를 분석해 최적화하는 데 퀀텀 컴퓨팅을 활용하고 있다.

Copyright ⓒ 첨단 & Hellot.net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