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TECH 2025] 공장의 눈과 뇌가 진화한다...‘불량률 제로’ 넘어 초지능형 제조 시대로

2025.05.27 14:31:09

구서경 기자 etech@hellot.net


공장의 미래상 담은 BUTECH 2025, 제조업 '퀀텀 점프' 시작점...여기서 '터졌다'

 

‘스마트 제조, 미래 혁신의 꿈’을 슬로건으로 한 ‘제12회 부산국제기계대전(BUTECH 2025)’이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소재 전시장 벡스코(BEXCO)에서 성황리에 진행됐다. 올해 BUTECH는 단순한 산업·공장 자동화(FA) 분야 전시 콘셉트를 넘어, 인공지능(AI)·로보틱스·디지털트윈(Digital Twin)·머신러닝·비전 등 제조업의 판도를 뒤집을 ‘게임 체인저(Game Changer)’ 기술들이 총출동했다. 이를 기반으로, 혁신 전략과 경쟁력 확보 방안 등 국내 제조업이 나아갈 길을 제시한 현장이었다. 국내 제조 경쟁력을 한 단계 도약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된 이번 BUTECH 2025. 과연 각 분야 혁신·유망 참가업체는 어떤 기술·솔루션으로 참관객의 이목을 사로잡았을까? 이번 <헬로즈업> 특별 기획에서는 대한민국 제조업 ‘퀀텀 점프(Quantum Jump)’의 핵심 기술을 자세히 조망한다.


[AI·비전·XR] 오류는 없다! AI가 깨운 인지 혁명, 비전·예측·협업의 미래

 

 

이번 BUTECH 2025는 미래형 제조가 인간의 역할을 어떻게 재정의할지 보여주는 장이었다. 특히 AI, 머신비전(Machine Vision), 확장현실(XR) 등 기술은 공장의 '눈'과 '뇌'를 연상시키며, 생산 현장의 지능화를 한 단계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았다. 과거에는 상상하기 어려웠던 '불량 제로' 시대가 AI 기반 정밀한 시각 능력으로 현실이 되고 있으며, 또 다른 차세대 기술들은 제조 과정 전반에 걸쳐 혁신적인 가치를 더하고 있음을 증명했다.

 

BUTECH 2025에서 선보인 이 기술들은 더 이상 위험하고 반복적인 작업을 대체하는 수준에서 한 차원 진화해, 인간의 잠재력을 확장하고 생산 효율을 극대화하는 차세대 제조 혁명의 시작을 알렸다.


 

< 크레아폼 > 3D 측정 및 검사 솔루션

 

 

‘크레아폼’은 미국 소재 글로벌 계측·분석기기 제조업체 아미텍의 주요 사업부다. 3차원(3D) 측정 기술 및 엔지니어링 서비스 분야 솔루션을 제공한다. 자체 개발한 휴대용·자동형 3D 스캐너를 전 세계 75개국에 보급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품을 3D로 생성·검증·시뮬레이션해 측정 시간 단축과 생산성 향상을 체감할 수 있다.

 

핸디스캔 3D 블랙 시리즈(HandySCAN 3D BLACK series)는 메트롤로지(Metrology) 등급의 정밀한 측정 성능과 뛰어난 휴대성을 갖춘 3D 스캐너다. 국제표준화기구(ISO) 시험·교정 국제 표준 ‘ISO 17025’ 인증을 받았다. 제품 개발, 품질 관리, 제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정밀한 스캔 작업을 지원한다. 특히 블루 레이저(Blue Laser) 기술 기반 최대 30개 라인을 동시 조사하며, 최대 0.012mm의 정확도로 정밀 형상을 포착한다. 측정 환경의 제약이나 대상물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지 않아, 다양한 작업 조건에서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하는 것도 장점이다.

 

< 세이지 > AI 기반 비전 검사 소프트웨어

 

 

‘세이지’는 AI 비전 기술로 제조 현장의 품질 검사 및 공정 모니터링 자동화를 실현한다. 딥러닝(Deep Learning)을 활용한 비전 검사 솔루션과 공정 모니터링 플랫폼으로 불량 검출과 생산 공정의 실시간 이상 감지를 자동화한다. 배터리·인쇄회로기판(PCB) 분야 전 세계 공장 100여 곳에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세이지 비전(SAIGE VISION)은 딥러닝 기반 AI 모델을 차용한 비정형 결함 검출 소프트웨어다. 기존 정형화된 룰베이스(Rule-based) 검사 대비 최대 1.25배 높은 검출 정확도를 구현한다. 이차전지·디스플레이·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 가능하며, 고속 비전 검사와 함께 데이터 라벨링(Data Labeling) 보조 기능을 통해 라벨링 시간을 줄이고 품질의 일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사용자 친화적인 설계로 비전 라벨링과 데이터셋(Dataset) 관리가 용이해 제조 현장에서 AI 도입 장벽을 낮추는 데 기여한다.

 

또한 머신러닝 모델 개발·배포·운영·모니터링 방법론인 MLOps 기반 운영 최적화 기능을 탑재했다. 더불어 AI 모델 성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자동으로 재학습하는 기능이 내장돼, 현장 상황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팀 단위의 다중 프로젝트 관리와 협업 기능도 함께 지원한다.

 

< 모빅랩 > AI·초음파 기반 예측 유지보수 솔루션

 

 

‘모빅랩’은 초음파 기반 예측 유지보수 솔루션을 개발하는 제조 AI 스타트업이다. ‘데이터를 통해 더 큰 가치를 창출하는 기업’의 사명을 바탕으로,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 산업에서 예지보전 부문에 집중하고 있다. 디지털·초음파 신호처리 분야 전문성을 바탕으로, 생산 장비의 이상 감지부터 고장 원인 분류, 예측까지 아우르는 AI 모델을 제공한다.

 

와치배트(WatchBAT)는 설비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신호를 비접촉 방식으로 감지해, 미세한 결함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설치형 초음파 센싱 장비다. 기존 진동·열·음향 센서로는 탐지하기 어려운 고주파 이상 신호를 포착해 설비의 미세한 변화까지 감지 가능하고, 자체 AI 알고리즘을 통해 고장 가능성 및 교체 주기를 정량적으로 예측한다. 설비 상태를 점수화해 시각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작업자가 직관적으로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함께 제공되는 와치배트 키트(WatchBAT KIT)는 동일 기술 기반 휴대형 제품이다. 다양한 설비를 빠르게 진단할 수 있어 정비팀과 유지보수 부서에서 활용도가 높다. 복수 설비의 상태를 비교 분석하거나 이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유리하고, 측정된 정보는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과 연동돼 설비별 트렌드 분석 및 패턴 예측에도 활용 가능하다.

 

< 뉴로클 > 딥러닝 기반 비전 검사 소프트웨어

 

 

‘뉴로클’은 비전문가도 고성능 딥러닝 기술을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업체다. 직관적이고 사용하기 쉬운 소프트웨어 툴을 통해 노코딩(No-coding) 기반 딥러닝 비전 검사 공정을 구현한다.

 

뉴로-알(Neuro-R)은 제조 현장에 실시간으로 딥러닝 모델을 적용할 수 있는 비전 검사 런타임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다. AI 딥러닝 비전 모델 생성·학습 소프트웨어 뉴로-T(Neuro-T)와 딥러닝 비전 소프트웨어 뉴로-X(Neuro-X)에서 생성한 AI 모델을 중앙처리장치(CPU)·그래픽처리장치(GPU)·임베디드 보드(Embedded Board) 등에서 가동할 수 있다.

 

단순히 모델 추론 결과를 전달하는 데 그치지 않고, 다수의 모델을 다양한 방식으로 통합 활용할 수 있는 API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고도화된 비전 검사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다. 해당 솔루션은 특히 제조 장비 환경에 맞춰 연산 방식을 최적화함으로써 짧은 트랙 타임(Track Time)이 요구되는 산업 환경에서도 빠르고 정확한 검출 성능을 지원한다. 배터리·반도체·자동차·철강·식품 등 고정밀 검사가 필요한 제조 분야에서 미세하고 비정형적인 불량을 실시간으로 식별한다.

 

< 버넥트 > 산업용 XR 솔루션

 

 

‘버넥트’는 AI·로보틱스·XR·홀로그램(Hologram) 등 첨단 기술 기반 솔루션을 개발·공급하고 있다. 이를 제조·건설·교육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하고 있다. 자체 플랫폼 버넥트 트랙(VIRNECT Track)을 통해 원격 협업, 실시간 작업 지원, 교육 시뮬레이션 등 몰입형 XR 경험을 제공하며, 현장 중심 문제 해결과 업무 효율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증강현실(AR) 기반 디지털 트윈, AI 연동 분석 기능 등 차세대 기술을 통합해 기술 실용성과 지속 가능성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비전엑스(VisionX)는 올해 초 미국 국제전자제품박람회 2025(CES 2025) 혁신상을 수상한 AI 기반 산업용 스마트 보안경이다. 음성 제어 AI, AR, 원격 협업 기능을 통합한 차세대 디바이스다. 작업자는 음성 명령만으로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거나, 작업 절차를 안내받을 수 있다. 내장된 카메라와 센서가 작업 환경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AR 기반 시각 정보를 즉각 제공한다. 이로써 작업자는 복잡한 작업 환경에서도 안전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 솔루션은 버넥트의 원격 협업 솔루션 버넥트 리모트(VIRNECT Remote)와 연동돼 전문가와 실시간 연결이 가능하다. 이는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실시간 공유·협업을 지원하기 때문에 대응 시간이 단축된다. 여기에 탑재된 AI 기반 대화형 인터페이스는 온프레미스(On-premise) 거대언어모델(LLM)과 검색증강생성(RAG) 기술 제공해, 정확한 정보 검색과 실시간 의사결정 지원도 제공한다.

 

< 화인스텍 > 머신비전 시스템

 

 

‘화인스텍’은 이차전지·자율주행·반도체·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머신비전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카메라, 렌즈, 조명, 프레임 그래버(Frame Grabber) 등 고속·고정밀 검사에 필요한 머신비전 구성 요소를 공급하는 중이다. 여기에 맞춤형 솔루션 공급 역량을 더해 고객 중심의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에픽 아이 시리즈(Epic Eye Series)는 넓은 시야각과 서브밀리미터(Sub-millimeter)급 정밀도를 갖춰, 다양한 로봇 가이던스(Robotics Guidance) 요구에 대응하며, 복잡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이미지를 취득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명암 차이가 큰 대상에도 우수한 화질을 제공하고, 다양한 객체와 호환성을 갖춘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를 지원해 로봇과의 연동이 간편하다. 전용 소프트웨어를 통한 손쉬운 통합과 300~3500mm 거리의 3D 포인트 클라우드(3D Point Cloud) 생성 기능은 이 기술이 빈피킹(Bin Picking)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솔루션임을 증명한다.

 

또 다른 솔루션 에픽 아이 픽셀 프로(Epic Eye Pixel Pro)는 2.3메가픽셀(MP) 고해상도 카메라가 탑재된 3D 센서가 탑재됐다. 최대 1.5m 거리에서도 정밀한 인식이 가능한 산업용 비전 시스템으로 주목받는다.

 

특히 제품 등록 시 컴퓨터지원설계(CAD) 파일 없이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만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반사율이 다양한 소재도 안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고명암 대비(HDR) 기반 멀티 익스포저(Multi Exposure) 기능을 지원한다. 주목할 점은 세 종류의 시료를 자동으로 구분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확한 픽앤플레이스(Pick&Place) 작업을 구현한다는 것이다.

 

< 키미이에스 > 디지털 제조 가공 소프트웨어

 

 

‘키미이에스’는 제품수명주기관리(PLM), 애플리케이션 수명주기관리(ALM), 사물인터넷(IoT), 설비자산관리(MRO), 생산관리시스템(MES), 컴퓨터지원기술(CAx) 등 다양한 제조 정보 기술 역량을 보유했다. 현재 자동차·전자·제조·공공 등 다양한 산업군에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제품 디자인과 생산성 증대를 위한 최적의 기술 적용과 프로세스 개선으로 고객 경쟁력 향상을 지원하고, 통합 IT 연구개발(R&D) 서비스 기업으로 주목받는 중이다.

 

엔엑스 캠(NX CAM)은 엔엑스 캐드(NX CAD)와 완전 통합된 제조 가공 솔루션으로, 하나의 소프트웨어 환경에서 다양한 공정 설계부터 시뮬레이션, 최종 가공까지의 프로세스를 일괄적으로 지원한다. 2차원(2D) 곡선이나 솔리드 모델(Solid Model)을 기반으로 한 선삭(Turning) 기능을 비롯해, 복합기 및 다중 축 장비에 대한 공정 프로그래밍을 폭넓게 지원한다.

 

자동 가공 경로 계산으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고, 3·5축 밀링(Milling) 가공에서는 충돌 및 간섭 회피 기능과 함께 공구 축을 자동 제어하는 고급 황삭·정삭 기능을 갖췄다. 이로써 사용자는 복잡한 형상 가공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외에도 임펠러(Impeller), 블레이드(Blade) 등 회전체 부품 전용 터보머신 가공 모듈과 실제 지코드(G-code)를 기반으로, 동작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장비 검증 기능을 제공하는 점도 특징이다. 이는 실가공 전 충돌 위험을 사전에 확인하는 기능을 한다.

 

아울러 지향성에너지증착(DED)·파우더베드퓨전(PBF) 방식의 적층 제조 기능도 포함돼 있고, 하이브리드 제조 공정과 지지 구조 자동 생성도 지원한다. 드릴링(Drilling), 프로빙(Probing), 포스트 프로세싱(Post Processing) 등 다양한 컴퓨터지원제조(CAM) 기능이 함께 공급돼, 금형·항공·기계 등 다양한 제조업 현장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

 

< 캐디언스시스템 > FA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캐디언스시스템’은 엔엑스 캐드, 엔엑스 캠, 테크노매틱스(Tecnomatix), 팀심(Timsim) 등 다양한 디지털 제조 솔루션을 공급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디지털 전환(DX)을 이끄는 IoT 기술 기반 업체다. CAD·CAM을 비롯해, 컴퓨터지원엔지니어링(CAE)·데이터관리(DM)·ALM·생산운영관리(MOM)·클라우드 분야를 중심으로 고객 환경에 맞춘 개발, 컨설팅, 교육, 기술 자문, 유지보수까지 통합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특히 몰덱스3D(Moldex3D), 캐스트 디자이너(CAST DESIGNER), 폼 어드바이저(FORM ADVISOR) 등 해석 솔루션과 자체 개발한 몰드드림 시리즈(MOLDream Series)를 내세운다. 이로써 스마트 팩토리, 클라우드 기반 디지털 트윈 구현을 목표한다.

 

플랜트 시뮬레이션(Plant Simulation)은 공장 증설, 레이아웃 변경, 물류 자동화 및 자동화 라인 설계 등에 활용되는 디지털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다. 생산 자원, 인력 배치, 자재 흐름, 교대 모델 등 생산 공정 전반을 디지털 모델로 구현해 자원 활용률과 생산 KPI(Key Performance Indicator)를 가시화해 운영 효율을 사전에 분석·검증 가능하다. 가상 환경에서 시뮬레이션된 실제 수치를 기반으로 생산 시스템의 병목 현상을 파악하고, 최적의 운영 조건을 도출할 수 있어 제조 현장의 자동화 전략 수립에 유용한 도구로 활용된다.

 

< 케이에스텍 > AI 디지털 트윈 생산 계획 솔루션

 

 

‘케이에스텍’은 1998년 창립 이후 제조·금융·통신·물류·공공 산업에 솔루션 제공하는 중이다. 컨설팅, 기술 지원 등 토털 정보통신기술(ICT)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생산 계획, 인력 계획, 절단 계획, 보험 사기 방지 등 케이에스텍 솔루션 패키지를 비롯해 IBM 애널리틱스(IBM Analytics), IBM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통합 소프트웨어(IBM Hybrid Cloud Integration Software), 로그 웨이브(Rogue Wave) 등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지원한다.

 

더불어 최적화 시스템 설계·개발,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사기 방지 시스템 등 컨설팅도 함께 지원한다. 여기에 IBM CPLEX, ODM(Operational Decision Manager),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등을 중심으로 한 기술 교육과 소프트웨어 유지보수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

 

싱크플랜 에이피에스(SyncPlan APS)는 생산·구매·출하·영업 등 전 부서를 하나의 체계로 연결하는 단일 계획 기반 AI 디지털 트윈 솔루션이다. 생산 자원, 자재, 인력 등 복합 요소를 고려한 생산 계획 수립을 지원하며 납기 우선, 비용 최적화 등 우선순위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는 계획 모델을 제공한다.

 

AI 기반 계획 추천 기능과 머신러닝 기반 기준 정보 채굴 기능은 반복되는 수작업 부담을 줄여주고, 과학적 수요 예측 모델로 지역·계절 특성에 맞는 수요 반영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작업 일정 자동 조정이 가능한 스마트 간트 차트(Smart Gantt Chart), 계획 조정 UI(User Interface), 스케줄링 결과 분석 도구 등을 통해 실시간 생산 계획 수립과 운영 효율을 높인다. 위험 분석 기반의 시나리오 대응과 품목 교체, 자재 불출 시점 예측 등도 지원돼, 부서 간 계획 연계로 긴급 주문이나 예외 상황에도 빠르게 대처하는 구조를 갖췄다.

 

<애플 제조업 연구개발 지원센터> 중소기업 지능형 제조 혁신 지원 프로그램

 

 

애플(Apple) 제조업 연구개발(R&D) 지원센터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제조 설비 분야의 혁신 기술 활용을 지원하는 교육·트레이닝 허브로 활약하고 있다. 머신러닝·IoT 등 다양한 스마트 제조 기술의 실습 중심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스마트 데이터 랩(Smart Data Lab), 스마트 공정 랩(Smart Process Lab), 스마트 품질 랩(Smart Quality Lab) 등을 통해 예측 정비, 린(Lean) 공정, 고장 분석 등 업계 모범 사례를 기반으로, 제조 현장의 DX을 촉진하고 있다. 비용 효율적인 이미지 검사·기기 내 프로세싱 솔루션 등 애플사의 기기를 활용한 실용적 기술 적용도 지원하고 있다.

 

헬로티 구서경 기자 

Copyright ⓒ 첨단 & Hellot.net





상호명(명칭) : (주)첨단 | 등록번호 : 서울,자00420 | 등록일자 : 2013년05월15일 | 제호 :헬로티(helloT) | 발행인 : 이종춘 | 편집인 : 김진희 | 본점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 127, 3층, 지점 : 경기도 파주시 심학산로 10, 3층 | 발행일자 : 2012년 4월1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유활 | 대표이사 : 이준원 | 사업자등록번호 : 118-81-03520 | 전화 : 02-3142-4151 | 팩스 : 02-338-3453 | 통신판매번호 : 제 2013-서울마포-1032호 copyright(c) HelloT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