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ST-IBS, 차세대 반도체 솔리톤 안정화 기술 개발
-
-
주목받는 아토초 과학, 반도체 등 전자공학서 두각 드러내나
-
-
UNIST “차세대 배터리용 실리콘 음극재, 추우면 쉽게 파괴돼”
-
질병 조기 진단의 길 열렸다...주사 바늘보다 얇은 초미세 3D 내시경 개발
-
늘리거나 구부려도 빛 감지 능력 뛰어난 신축성 나노소자 개발
-
IBS 중이온가속기연구소 초대 소장에 홍승우 성균관대 교수
-
반도체 특성 띤 새로운 2차원 탄소 동소체 개발...광전자공학, 촉매, 센서 등에 활용 기대
-
IBS, 자이로스코프와 닮은 분자 기계 합성...크기 2.3nm, 초소형 ‘분자 로터’ 탄생
-
IBS 첨단 반응동역학 연구단 23일 출범...단장에 이효철 KAIST 교수 선임
-
IBS, 속도·전력·용량 모두 잡은 스핀 메모리 소자 구현한다
-
-
IBS 나노입자 연구단, 3차원 폴더블 QLED 어레이 기술 개발
-
IBS, 흑린으로 2nm 크기의 반도체 소자 구조 제작 성공
-
-
IBS, 가장 작은 반도체가 이산화탄소를 플라스틱 원료로 바꾼다면?
-
[반도체 기술] IBS, 빛으로 결함 제어해 2차원 반도체 도핑하는 기술 구현
-
'개별 나노입자 3D 증명사진 촬영한다 ' 원자 수준으로 포착해
-
[R&D PLUS] IBS, 에너지저장장치 성능 높일 신소재 개발
-
중이온가속기 라온, 전단부 초전도가속시험 성공…2021년까지 구축 청신호
-
-
기초과학연, 영하 271도 극저온 냉각장치 개발
-
미래부 기초과학연구원 연구진, 피부 부착형 양자점 LED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