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데이터

배너

상반기 글로벌 전기차·배터리 시장, 불우한 여건에도 '성장 지속'

URL복사
[#강추 웨비나] 설계 산업의 미래 다가가기: AI기능 및 신기능 업무에 적용하기 (6/12)

 

2022년 상반기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판매량이 원자재 가격 상승, 러-우 전쟁, 코로나 지속 등 험난한 시장 환경 속에서도 전년동기대비 63% 성장한 4285천대로 잠정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중국이 정부의 전기차 보급 확대 정책으로 전년동기대비 121% 고성장을 기록하며 전체 시장을 이끌었고, 북미도 바이든 정부의 친환경 정책으로 전년비 59% 고성장을 이뤘으나, 유럽은 러-우 분쟁의 영향으로 전년동기대비 5% 성장에 그쳤다.

 

차량별로는 승용차가 전년동기대비 62%, 버스와 트럭은 각각 71%와 74% 성장했다. 2022년 상반기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은 전년동기대비 76% 성장한 202GWh를 기록했다.

 

 

중국전기차 시장 호황으로 중국 배터리 업체들의 고성장이 있었다. 중국 외 업체로는 SK온이 124%, 삼성SDI가 50% 성장했으나, LG에너지솔루션과 파나소닉은 성장세가 둔화됐다.

 

CATL이 69GWh로 2위 Group과 격차를 벌리며 독보적 1위를 유지한 가운데, BYD가 자사 전기차 판매 호조로 3위로 올라왔으며, CALB, Guoxuan, Sunwoda등 중국 기업들도 고성장을 하고 있다.

 

배터리 업체별 시장 점유율을 보면, 글로벌 Top 10의 시장 점유율은 90% 이상을 유지했으며, CATL이 작년 상반기 29%에서 올해 상반기 34%로 확대됐다. BYD도 12%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 반면 LG에너지솔루션과 파나소닉의 시장 점유율은 하락했다.

 

중국 외 글로벌 시장에서의 배터리 업체별 판매실적을 보면 LG에너지솔루션과 파나소닉이 1,2위를 유지하고 있으나, CATL과 SK온이 고성장을 이루면서 시장 지분을 확대해 가고 있는 모양새다.

 

배터리 종류로 보면, LFP 비중이 계속 확대되며 2022년 상반기 33%까지 올라갔다. 타입별로는 각형비중이 12% 올라간 반면, 원통형과 파우치 비중은 5~7% 하락했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