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가속 기능을 내장해 기존 대비 AI RAN 성능을 최대 3.2배 향상
인공지능(AI)과 5G 기술이 통신 산업을 빠르게 변화시키는 가운데, 인텔이 'MWC 2025(모바일월드콩그레스 2025)'에서 AI 기반의 네트워크 혁신 솔루션을 공개했다.
이번 행사에서 인텔은 50곳 이상의 파트너 및 고객사와 함께 고성능·고효율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을 위한 다양한 기술을 선보였다. 특히, AI를 내장한 솔루션을 통해 별도의 고가 하드웨어 없이 최적화한 총소유비용(TCO)을 구현하도록 지원하며, 통신 사업자가 직면한 인프라 현대화, 보안, 레거시 시스템 통합 등의 문제 해결을 돕는다.
사친 카티 인텔 네트워크 및 엣지 그룹(NEG) 총괄은 “클라우드 기술과 파트너 협력을 바탕으로 5G 코어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의 가상화를 지원하고 있다”며, “인텔 제온 6 프로세서를 통해 AI 기반 네트워크의 미래를 실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에 발표된 인텔 제온 6 시스템온칩(SoC)은 AI 가속 기능을 내장해 기존 대비 AI RAN 성능을 최대 3.2배 향상시켰으며, 8개의 이더넷 포트와 200Gbps의 총 처리량을 지원해 네트워크 연결성과 성능을 극대화했다. 이를 통해 통신 사업자는 기존 다중 서버 운영 방식에서 단일 서버로 오픈 vRAN 사이트를 통합해 서버 수를 줄이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한편 TCO를 최적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업계 최초로 미디어 트랜스코드 가속기를 탑재해 비디오 트랜스코딩 성능을 최대 14.25배 향상시키며, 실시간 비디오 서비스 제공 시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와 함께 인텔은 제온 6 SoC에 제로 트러스트기반 보안 기술을 적용해 엣지부터 클라우드까지 안전한 연결성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특히, 통신사 및 파트너사들과의 협력을 통해 차세대 vRAN 및 개방형 RAN 혁신을 가속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인텔은 이번 행사에서 글로벌 주요 통신사들과의 협력 사례도 발표했다. 보다폰의 경우 개방형 RAN 구축을 통해 인텔 제온 기반 네트워크의 경쟁력을 검증했으며, AT&T는 인텔·에릭슨과 협력해 세계에서 가장 개방적이고 프로그래머블한 RAN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삼성전자는 인텔 제온 6을 활용한 AI 기반 RAN 성능 및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했으며, 버라이즌은 5G RAN의 40% 이상을 가상화하며, 차세대 고집적 vRAN 서버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한편, 2024년 출시된 인텔 제온 6 프로세서 E-코어는 5G 코어 솔루션 벤더와 통신사 사이에서 널리 채택되고 있다. 에릭슨은 인텔 제온 6 프로세서 E-코어를 활용해 소프트웨어 최적화를 달성함으로써 와트당 성능을 3.8배 향상시켰다. 노키아 역시 5G 패킷 코어 솔루션 실행 전력 소비를 60% 절감했으며, 삼성전자는 2025년 2분기 출시 예정인 차세대 클라우드 네이티브 코어에 적용해 성능 및 집적도를 3.2배 향상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텔은 MWC 2025에서 새로운 이더넷 컨트롤러 및 네트워크 어댑터를 공개했다. 인텔 이더넷 E830은 최대 200Gbps 대역폭 지원, 실시간 vRAN 워크로드 최적화하며, 인텔 이더넷 E610은 전력 효율적인 컨트롤 플레인 네트워킹에 최적화했다.
끝으로, MWC 2025에서 인텔은 RAN 혁신, 미디어 및 엣지 기술 발전, 보안, AI PC 솔루션 등 다양한 영역에서 제온 6 프로세서를 활용한 미래 네트워크 기술을 선보인다. 이를 통해 차세대 AI 네트워크 구축과 지속가능한 5G 인프라 혁신을 가속화할 전망이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