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와 한국철도공사는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철도 승차권 예매 서비스가 확대한 결과, 2024년 1월부터 7월까지 방한 외국인 중 일반 및 고속 열차 이용이 지난해 동기 대비 50.2%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전체 방한 외국인 911만 명 중 약 25%인 232만 명이 열차를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화권 관광객의 모바일 앱을 통한 사전예매가 많이 증가하여, 2024년 1~7월에 18.2만 명이 이용, 전년 대비 204% 증가했다.
이는 트립닷컴 등 글로벌 여행 플랫폼과 협력하여 편의성을 높인 결과로 분석된다. 한국철도공사는 중국의 위챗과 알리페이, 일본의 코네스트와 제휴하여 외국인 관광객의 모바일 간편결제 선호에 맞춘 예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10월부터는 동남아, 유럽, 미국 등 주요 권역의 여행사와 협력하여 국내 철도여행 패키지 상품을 개발하고 판매할 계획이다.
외국인 열차 이용객들은 주로 서울을 통해 부산, 동대구, 경주 등 주요 관광지를 방문하고 있으며, 국토교통부는 다양한 지역을 방문할 수 있도록 이동 편의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다.
올해 말까지 철도-항공 연계 서비스 대상 역을 14개 역으로 확대하고, 외국인 집배송 서비스의 이용 방식을 개선하여 이용 가능역도 늘릴 계획이다.
앱을 통한 철도 이용이 동기 대비 50% 이상 증가한 현상을 두고 업계 관계자는 "관광은 굴뚝 없는 산업이다. 삶이 풍요로울 때나 어려울 때나 늘 갈망하는 분야이며 정보통신은 여행이라고 하는 미지의 시공간에서 효율적으로 목표를 선택하게 하는 안내자의 역할을 한다"라며 정보통신과 여행의 컬래버를 반겼다.
또한, 여행은 정신적 육체적 치유가 필요하다고 느낄 때 어디론가 떠난다고 하는 신비감을 주며 정보통신은 신비감이 불안감으로 변하지 않게 하는 필수 요소여서 이런 컬래버는 어떤 형태로든지 발전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헬로티 김근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