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부동산 건설

배너

5월 4주차 전국 아파트 가격 매매 0.01% 상승, 전세 0.05% 상승

URL복사

 

한국부동산원(원장 손태락)은 2024년 5월 27일 기준으로 진행된 전국 아파트 가격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아파트 매매 가격은 0.01% 상승했으며, 전셋값은 0.05% 올랐다고 전했다. 수도권과 서울에서는 아파트 가격 상승 폭이 소폭 확대되었으며, 지방은 소폭 하락으로 전환되었다.

 

특히, 전북, 인천, 충남 및 강원 지역에서는 가격이 상승했지만, 경기는 보합세를 유지했다. 제주, 대구, 경남, 부산, 전남 등 일부 지역에서는 가격 하락세를 보였다. 서울의 경우, 강북과 강남 지역 모두에서 아파트 가격이 상승했다.

 

주요 관심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꾸준히 이어지고 저가 매물 소진 이후 매도 희망 가격 상승과 일부 상승 거래가 발생하면서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인천과 경기 지역에서도 아파트 가격이 상승했다. 인천 중구, 부평구, 서구, 계양구 등에서는 주요 단지 위주로 가격이 올랐다.

 

경기도는 안성시와 평택시에서 하락세를 보이지만, 안양 동안구, 성남 분당구, 수원 영통구 등에서는 상승세를 기록하며 전체적으로 보합세를 유지했다. 지방에서는 5대 광역시와 세종, 8개 도에서 다양한 흐름을 보였다. 대구와 부산에서는 하락세가 지속되었으며, 세종에서는 준신축 및 대단지 위주로 하락했다.

 

반면, 전북에서는 상승세를 보이며, 특히 전주 덕진구에서는 상승 폭이 두드러졌다. 이번 조사 결과는 전국적으로 아파트 가격이 큰 폭으로 변동하지는 않았으나, 지역에 따라 다양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음을 나타낸다.

 

한편,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상승 폭이  소폭 축소됐다. 지방은 하락 전환 전국적으로 아파트 전셋값의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상승 폭은 다소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지난주 0.07%에서 이번 주 0.05%로 소폭 줄어들었다. 특히, 수도권은 0.12%에서 0.11%로, 서울은 0.10%로 상승 폭이 유지되는 반면, 지방은 0.02%에서 -0.01%로 하락 전환되는 모습을 보였다.

 

시도별로 살펴보면, 인천과 경기, 울산, 충남, 전북, 충북, 부산, 광주 등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대구, 제주, 경북 등 일부 지역에서는 하락세로 전환됐다. 특히 인천은 0.21%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수도권의 경우, 서울은 신축 및 대단지 위주로 부족한 매물과 꾸준한 대기수요로 인해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인천과 경기 역시 매물 부족과 신축 대단지 위주로 상승세가 유지되고 있다.

 

반면, 지방은 세종시의 하락 폭이 확대되고 5대 광역시도 소폭 하락하는 등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충남은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인 지역 중 하나로, 보령시와 논산시 등에서 상승세를 주도했다. 반면, 제주는 전국 8개도 중 가장 낮은 순위를 기록하며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이와 같은 동향은 전국적으로 아파트 전세 수요가 여전히 높은 상황임을 반영하나, 지역별로 차별화된 모습을 보이며, 특히 지방의 경우 하락 전환되는 지역이 늘어나는 추세다. 부동산 시장 참여자들은 이러한 지역별 동향을 면밀히 분석하여 투자 및 거주지 선택에 참고할 필요가 있다.

 

헬로티 김근태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