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일반뉴스

배너

삼성전자, 캐나다 기업 텐스토렌트 차세대 AI 칩 생산

URL복사
[#강추 웨비나] 자동화 공정 최적화를 위한 유니버설로봇의 최신 기술 소개합니다...유니버설로봇과 모바일매니퓰레이 (6/18)

 

지난 8월 美 그로크 이어 반도체 스타트업과 협력 확대


삼성전자가 캐나다 반도체 기업 텐스토렌트(Tenstorrent)의 차세대 인공지능(AI) 반도체를 생산한다.


지난 8월 미국 AI 칩 분야 스타트업인 그로크(Groq)의 차세대 AI 칩을 생산하기로 하는 데 이어 해외 AI 반도체 유망 기업과 협력을 확대하는 모습이다.


텐스토렌트는 2일(현지시간) 자사가 설계한 4나노(SF4X) 공정을 이용한 차세대 AI 칩렛(Chiplet)을 삼성전자에서 생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텐스토렌트는 '반도체 전설'로 불리는 짐 켈러가 최고경영자(CEO)로 있는 캐나다의 AI 반도체 개발 스타트업으로, 시장 가치가 10억 달러(1조3천억원)에 달한다.


칩렛은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반도체를 하나의 패키지로 만든 반도체로, 고성능 반도체 개발에 이용된다.


텐스토렌트는 삼성전자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에서 생산되는 차세대 AI 반도체는 밀리와트(저전력)에서 메가와트(대규모 전력)까지 전력 공급이 가능하게 설계돼 향후 에지(Edge) 디바이스부터 데이터센터까지 다양한 응용처에 적용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짐 켈러 CEO는 "우리는 고성능 컴퓨팅 솔루션을 개발해 전 세계 고객에게 제공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며 "삼성전자[005930]와 같은 훌륭한 파트너십을 추진하기 위해 키스 위텍을 COO로 영입했다"고 밝혔다.


이어 "반도체 기술 발전을 위한 삼성전자 파운드리의 노력은 반도체 설계 자산인 리스크 파이브(RISC-V)와 AI 분야 혁신을 추진하는 우리의 비전과 일치한다"며 "삼성전자는 텐스토렌트 AI 칩렛 출시를 위한 최고의 파트너다"라고 강조했다.


텐스토렌트는 최신 공정을 갖춘 미국 삼성전자 공장에서 경쟁력 있는 반도체를 제공받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켈러 CEO는 지난 6월 '삼성 파운드리 포럼 2023'에 참석해 "세계적인 성능 수준의 반도체 설계와 생산에 드는 비용을 줄여 업계 판도를 바꿀 것"이라며 삼성전자 파운드리와 협력을 암시한 바 있다.


앞서 지난 8월에는 구글 엔지니어 출신들이 창업한 미국 반도체 설계 기업 그로크가 차세대 AI 칩 생산인 4나노(㎚·10억분의 1m) AI 가속기 반도체 칩을 삼성전자 파운드리에서 생산한다고 밝힌 바 있다.


삼성전자 미국 파운드리 사업 담당 마르코 치사리는 "우리는 최고의 반도체 기술을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해 미국에서 계속 확장 중"이라며 "삼성전자의 첨단 반도체 생산 기술은 텐스토렌트의 데이터센터와 오토모티브(전장) 솔루션 혁신을 가속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