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정책

배너

제주도에 ESS 전력시장 첫 개설...향후 전국으로 ESS 보급 확대

URL복사

 

260MWh ESS 시설 도입…15년간 장기계약으로 사업 안정성 보장 재생에너지 20% 달하는 제주도 전력계통 안정 기대…전국 확대 추진


날씨에 따라 변동성이 큰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20%에 달해 전력 수급 안정화 도전이 날로 커지는 제주도에 '전기 저수지' 역할을 할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ESS)가 도입된다.


탄소중립 시대를 맞아 2036년까지 우리나라의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30% 이상으로 확대될 예정인 가운데 정부는 전력 수급 안정을 위해 앞으로 제주도의 첫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ESS 활용을 전국으로 확대해나갈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7일 제주 전력 수급 안정화와 재생에너지 출력 제어 문제 완화를 위한 ESS 설비 도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오는 18일 260메가와트시(MWh) 규모의 배터리 ESS 사업 입찰 공고를 낼 계획이다.


이는 태양광·풍력 발전이 왕성해 수요보다 공급이 많을 때 65메가와트(㎿) 전력을 4시간 동안 충전해 보관했다가 전기 공급이 필요할 때 다시 같은 전력을 4시간 공급할 수 있는 수준이다.


이번 입찰은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른 것으로, 물량은 제주도 전력 계통 안정화를 위해 단기적으로 필요한 수준이라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최종 낙찰자는 입찰 가격, 기술 능력, 화재 방지 등 설비 안정성, 산업·경제 기여도 등을 종합 평가해 연말까지 선정한다.


사업자는 ESS 설비를 건설해 운영하고 15년 동안 낙찰 때 약속받은 단가를 적용해 전력거래소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그간 우리나라에도 개별 사업자들이 ESS를 설치해 운영하는 사례가 있었다.


하지만 전국의 전력 수급을 통제하는 전력거래소의 급전 지시를 받는 ESS 설비가 도입돼 '저탄소 전원 중앙계약시장'이 개설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기존의 ESS는 소유주가 각자 판단에 따라 전기를 저장하거나 내보내지만, 이번에 도입될 ESS는 일반 발전소들과 마찬가지로 중앙계약시장에 들어와 전력거래소의 급전 지시에 따라 전기를 충전하거나 외부로 공급하게 된다.


정부는 이번 제도 도입을 추진하면서 배터리 ESS 시설의 사업 안전성 지원에 정책 초점을 맞췄다.


현재 전력거래소에서 발전 사업자들은 전력 도매가 성격의 계통한계가격(SMP)을 기준으로 전기 공급 대금을 받는다. 올해 월평균 SMP는 1킬로와트시(kWh)당 150원대에서 240원대 사이에서 형성됐다.


시장에서는 제주도 ESS 입찰에 참여할 업체들이 높은 투자 비용을 고려할 때 현행 SMP 수준보다 더 높은 가격을 써낼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태양광 발전을 중심으로 한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최근 빠르게 커지면서 전기가 넘치거나 부족할 때 대응할 수 있는 유연성 확보가 중요해졌다.


하지만 그간 국내에서 ESS는 높은 투자 비용과 낮은 사업성, 화재 등 안전성 문제로 보급 속도는 더딘 편이었다.


태양광을 중심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이 빠르게 늘어난 반면 변동성을 관리할 ESS 투자가 이를 따르지 못하면서 태양광 발전 효율이 좋지만 나라 전체의 전력 수요가 적은 봄·가을철 발전 출력 제어 문제를 놓고 사회적 갈등도 커졌다.


정부는 제주도의 첫 '저탄소 전원 중앙계약시장' 도입 사례를 향후 전국으로 ESS 보급을 확대하는 계기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사전 계약 가격 결정으로 ESS 발전 사업자의 사업 불확실성 완화 및 지속가능성 제고가 기대된다"며 "실질적 ESS 보급 확대를 통한 계통 안정화 및 재생에너지 출력 제어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