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5G/6G 통신 및 디스플레이, IoT·모빌리티 센서, 국방 스텔스, 흡차음 패널, 의료 영상 등 주요 산업 분야를 선도할 기술로 손꼽히는 메타물질에 관한 종합 토론의 장이 마련된다.
국회 하태경 의원, 김영식 의원, 신원식 의원,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공동 주최하는 ‘미래 혁신을 선도하는 초격차 기술, 메타물질 포럼’이 1월 31일 서울 국회 의원회관 제2 세미나실에서 개최된다.
한국기계연구원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파동에너지 극한제어연구단이 공동으로 주관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후원하는 이번 포럼은 ‘메타물질’을 주제로, 국내 메타물질 개발 및 응용에 관한 전문가를 비롯해 수요기업과 유관기관 관계자까지 각계각층의 연사가 참여해 메타물질의 현재와 미래 기술선도를 위한 방향을 제언하는 자리로 마련된다.
이날 포럼에서는 하태경 의원, 김영식 의원, 신원식 의원이 개회사로 포럼의 문을 열며,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이우일 회장의 환영사와 함께 이어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창윤 실장이 축사를 진행한다.
김영식 의원은 “메타물질은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으며 인간이 만들어낸 새로운 성질을 가진 물질로 디스플레이, 항공우주, 초음파 등 미래 산업 분야에서 혁신적 파급력을 지닌 차세대 소재기술”이라며 “이번 포럼에서 아직 국민에게 낯선 개념인 메타물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연구개발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마련했다”고 말했다.
신원식 의원은 “첨단 기술에 기반한 미래 먹거리 방위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메타물질 기술 개발은 필수적이며, 이번 포럼은 우리가 직접 기술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활용하는 첨단 방위산업 시대를 개막하는 귀중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기조발제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정병선 원장이 연설자로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 등을 역임한 전병선 원장은 이번 기조발제에서 ‘첨단 원천기술의 Scale-up 전략: 메타물질을 중심으로’를 주제로 연설한다.
이번 포럼에 연사로 참여하는 파동에너지극한제어연구단/한국기계연구원 이학주 단장은 ‘메타물질 연구개발 동향’에 대하여 발표하며, 한국무기체계 안전협회 안창범 부회장은 ‘메타물질 국방 응용’을 중심으로 발표한다.
포럼 마지막 순서인 패널토론에는 박방주 교수(좌장, 가천대학교), 박남규 교수(서울대학교), 안창범 부회장(한국무기체계안전협회), 정문섭 연구위원(LIG 넥스원), 이병권 전무(한화시스템), 이학주 단장(파동에너지극한제어연구단/한국기계연구원), 정경진 수석연구원(국방과학연구소), 정병선 원장(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 참여해 포럼에서 제시된 메타물질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되짚어보며 발전 전략을 모색할 전망이다.
헬로티 임근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