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배너

[FOCUS ON 스타트업] 모라이가 꿈꾸는 '누구나 이동의 권리를 누리는 세상'

URL복사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전문 스타트업 '모라이' 정지원 대표 인터뷰

 

자율주행 자동차의 마지막 목표라고 한다면, 어떤 상황과 환경에서도 자동차가 스스로 판단하고 움직일 수 있게 되는 것이리라. 실제 주행 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변수에 자동차가 사람 운전자와 똑같이 대처할 수 있어야 하는데, 따지고 들자면 돌발 상황이라는 것은 사실 무한에 가까운 것이어서, 자율주행차라고 개발해 놓은 자동차가 정말 신뢰할 만한지 평가하기 위해서는, 아주 많은 케이스를 포함하고 있는 엄청난 양의 시험 주행 거리가 필요하다. 이런 테스트를 실제 도로에서 수행해야 한다면? 지구 몇 바퀴로는 어림도 없다.

 

누군가가 한 가지 아이디어를 냈다. 실제 도로에서 자율주행 테스트를 하기 어려우니, 가상 환경에서 해보면 어떻겠냐고. 이렇게 자율주행 시뮬레이션이란 개념이 등장했다. 실제 도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들을 마치 게임처럼 가상 환경에 만들어 놓고, 그 안에서 자율주행차를 개발해보자는 콘셉트. 모라이는 바로 이 자율주행 시뮬레이션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어릴 때부터 자동차를 좋아했던 모라이의 창업 멤버 정지원 대표는 원래 UAM(Urban Air Mobility, 도심항공모빌리티)을 연구했었다. 대학교와 대학원 시절, 기계가 스스로 움직이며 임무를 수행하는 무인 이동 시스템에 관심이 많았던 그는, 어느 날 홀연히 나타난 문장 한 구절에 마음을 뺏겼다. 

 

'교통 약자들의 이동의 자유와 운전에 대한 선택권'

 

'모든 사람이 반드시 운전을 할 필요는 없지. 운전하는 데 빼앗겨 온 시간에 더 생산적인 일을 할 수도 있지.' 만인에게 평등한 이동의 권리를 주장하며, 교통 약자나 교통 소외 지역에 사는 사람들에게 이동의 자유를 돌려주고 생활 반경을 넓혀주자는 생각. 정지원 대표는 자율주행차를 개발하기로 마음먹었다. 그렇게 정 대표의 대학원 생활은 자율주행차를 만들고, 테스트하는 일로 채워졌다.

 

 

"자율주행차를 직접 개발하다 보니, 무수히 많은 케이스들을 제가 직접 운전해서 테스트하는 일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자율주행차의 상용화를 빨리 이룰 수 있는 도구가 분명히 필요하다고 생각했죠"

 

자율주행차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는 도구. 그 도구를 직접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한 정 대표는 같은 뜻을 가진 사람들과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기업 모라이를 시작했다. 

 

Q. 자율주행 시뮬레이션을 개발하는 과정은 어떻게 되나요?

 

"첫 번째는 정적인 환경, 즉 멈춰 있는 대상물에 대한 디지털 트윈(현실세계의 기계나 장비, 사물 등을 컴퓨터 속 가상세계에 구현한 것)을 만들어야 해요. 그리고 두 번째로 이동하는 객체들을 넣어야죠. 자율주행에서는 보행자나 이륜차, 주변 차량이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따져야 해요. 마지막으로는 위에서 모델링한 것들을 바탕으로 일어날 일을 예측하는 시뮬레이션 부분이 있어요.

 

정적인 환경을 가상화하는 일은 비교적 쉬워요. 문제는 두 번째 단계인데, 예컨대 자동차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모델링하는 일이 쉽지 않죠. 규정하기 힘든 실제 운전자의 행동 패턴이나 의도 같은 것들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해야 하기 때문이에요. 또 가상 세계와 실제 세계가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를 계속 검증해야 하는데, 예를 들어 비 오는 날씨를 구현하려고 하면, 비가 오는 상황에서 운전자의 시야, 노면 마찰력 등을 계속 비교해 가면서 하나하나 검증해야 하기 때문에 굉장히 많은 데이터가 필요해요."

 

 

한 가지 의문. 그럼 모라이의 시뮬레이터는 현실과 얼마만큼 가까울까. 시뮬레이션과 현실 세계를 동일시해도 좋은 정도일까.

 

"현재도 극단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날씨나 도로 교통 상황 등에 있어 95% 이상 정확하다고 보고 있어요. 정적인 환경의 경우, 현실과 10cm 정도의 오차 범위가 있는 수준이죠. 문제가 되는 것은 눈비가 오는 상황, 눈이 쌓였을 때처럼, 특별하고 돌발적인 상황들이 펼쳐지기 쉬운 환경이에요. 엣지 케이스 혹은 코너 케이스라고 하는데, 전체 케이스 중에 일반적이지 않은 특수한 상황들에 대한 대처 능력을 올리기 위해 기술 고도화 작업이 진행 중이에요."

 

모라이의 시뮬레이션은 현대모비스, 현대오토에버, 네이버클라우드, 포티투닷 등 여러 기업에서 자율주행 개발, 평가, 또 그 밖의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을 뿐 아니라, 정부출연연구기관과 교육 기관 등에서도 활발하게 쓰이고 있다.

 

"결국 특정 산업이 몸집을 키우는 단계에선 사람이 제일 중요해요. 학교나 교육 기관에서 실제 자동차를 가지고 교육을 진행할 수 없으니까, 시뮬레이션 교육실에 시뮬레이터를 설치해놓고 학생들이 그 안에서 자동차도 주행시켜보고, 시나리오 기반으로 로직도 짜보고 하는 거죠."

 

 

현재 약 60여 개 대학교의 자율주행 관련 학과에서 모라이의 시뮬레이션 솔루션을 수업에 활용하고 있다. 그 중 10개 학교는 정규 교육과정이다. 정 대표는 인력 양성 사업이 장기적으로 유의미한 '밑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나중에 시장이 열렸을 때, 피교육자들이 시장의 주요한 플레이어들이 될 것이라는 생각에서다. 당장에 제품을 많이 파는 것보다는 산업의 전 생애주기를 함께 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통찰이다.

 

같은 이유로 모라이는 자율주행과 관련된 법률을 만들어나가야 하는 국책 기관들과도 긴밀히 협업하고 있다. 교통안전공단, 한국자동차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에서 모라이의 시뮬레이터에 주목했다.

 

글로벌 기업들도 모라이의 시뮬레이션에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IT 가전 전시회 CES, 오토모티브 테스팅 엑스포 유럽 등에서 직접 자율주행을 개발하는 자동차 회사를 포함해 OEM, 부품 회사, 스타트업 등 다양한 기업들이 모라이에 협력을 문의해왔다. 그중 AWS와는 특별히 긴밀한 협력 관계를 이어오고 있다. 오는 11월 열리는 AWS의 연례 행사에서 양사의 솔루션을 통합한 솔루션을 공식적으로 발표할 예정이기도 하다.

 

 

Q. 글로벌 기업들의 관심. 이유가 뭘까요?

 

"우선 제가 생각하는 모라이의 첫 번째 강점은 높은 수준의 디지털 트윈 기술이에요. 실제 환경을 오차 없이 거의 그대로 모사한다는 부분인데요. 그렇기 때문에 실제 세계에서의 테스트를 줄여 자원을 절감할 뿐 아니라 실제 세계에서 발견됐던 문제들을 가상 환경에서의 개발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는 점이 어필이 된 것 같고요.

 

두 번째는 SaaS(Software as a Service)로의 확장 가능성이에요. 기업들은 실제로 제품을 양산하기 전에 굉장히 많은 테스트를 하게 되는데요. 사용자 한 명이 하나의 PC를 사용하는 온프레미스 방식보다는 더 많은 기업들이 물리적인 제약 없이 대규모의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SaaS 방식이 훨씬 효과적일 것이란 생각이 들었고, 모라이의 기술개발 로드맵으로 설정했어요."

 

모라이는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전문 기업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디지털 트윈 기업이기도 하다.

 

"모라이는 크게 두 가지 방향성을 갖고 있어요. 한쪽은 당연히 자동차 산업으로 더 깊게 들어가는 것이고요. 또 다른 쪽은 디지털 트윈 분야예요. MORAI SIM Air는 디지털 트윈 사업을 확장하려는 시도의 일환이죠."

 

디지털 트윈이 유용한 분야는 비단 자동차뿐만이 아니다. UAM, 선박, 로봇 등 무인 이동체 산업 전반에서 디지털 트윈은 기술 개발 로드맵을 앞당길 수 있는 훌륭한 키가 된다. MORAI SIM Air는 모라이가 내놓은 차세대 항공 모빌리티를 위한 비행체 전용 시뮬레이션 솔루션이다.

 

 

"자율주행차가 도로, 교통에 집중한다면, UAM은 공항, 도심 건물 위의 버티포트(UAM 이착륙장) 같은 것들이 중요해요. 자동차 주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이를테면 블랙아이스(눈이 녹으면서 도로에 결빙되는 현상), 눈비가 대표적인데, 항공기 같은 경우에는 여기에 바람, 돌풍 같은 것들이 추가되고요. 자동차와 비행체의 기체 거동도 달라요. 시뮬레이션이라는 베이스는 동일하지만, 로봇으로 영역을 확장할 때는, 건물 실내와 로봇의 움직임을 중점적으로 모델링하고, 선박이라면 해안과 파도에 대한 모델링을 집중적으로 하죠."

 

모라이는 아직 열리지 않은 자율주행 시장에서, 자율주행 기술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라는 아이템으로 꽤 선전하고 있다. 투자자들로부터 기술의 확장성이 우수하다고 평가를 받았고, 연초 누적 투자 금액은 300억 원을 넘어섰다. 정부 과제도 꾸준히 맡았고, 자동차 분야 외에도 기존의 항공, 국방 산업 등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수주를 따내, 올해 약 60억 원 정도의 연매출을 예상하고 있다.

 

투자를 많이 받았지만, 그래서 수익을 내는 부분에 대한 부담이 여전히 있다는 정 대표는 "아주 조금씩 열리고 있는 시장이지만, 모라이가 이에 발맞춰 계속해서 적절한 점유율을 가져가고 있다"며, "막연하게 아직 열리지 않은 시장에 대한 희망에만 의존하고 있지는 않은 상황"이라고 자평했다. 

 

 

모라이의 목표를 물었다.

 

"글로벌 시장에서 표준을 주도할 수 있는 기업이 되고자 해요. 그래서 모라이의 시뮬레이션 솔루션을 통해 개발된 기술들이 자율주행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으면 좋겠어요. 또 자동차 분야에서 얻은 성공적인 경험들을 UAM, 선박에도 적용해, 무인 이동체 산업 전반에 쓰일 수 있는 좋은 시뮬레이션 플랫폼을 만드는 것도 목표입니다."

 

최근 스텔란티스, 현대자동차 같은 완성차 기업들은 '미래에는 자동차들이 전부 SDV(Software defined vihicle)가 될 것'이라며, "자동차는 현재의 모바일 폰처럼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이슈 외에 하드웨어와 관련한 이슈는 별로 없을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만약 자동차의 소프트웨어로 모라이의 시뮬레이션을 쓴다면?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은 마치 자동차 검사소처럼 자동차 안에서 차량의 상태가 어떤지, 자율주행 기능은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정기적으로 검사해주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굳이 미래까지 가지 않아도, 모라이의 시뮬레이션 세계 안에서는 오늘도 자동차들이 열심히 돌아다니며 안전하게 운전하는 법을 배우고 있다. 시뮬레이션 기술 덕에 우리는 우리의 생각보다 더 빨리, 모든 사람이 이동의 권리를 누리고, 운전을 선택하는 세상에 닿을지도 모르겠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