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부터 4년 동안 국비 150억 원 포함해 모두 300억 원 투입
충청남도는 지난 3일 산업통상자원부가 공모한 '전기차용 폐배터리 재사용 산업화 기술 개발' 사업 대상에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공모는 석탄화력발전 대체 산업 육성을 위해 도가 보령시와 기획해 정부에 제안한 사업이다. 공모 선정에 따라 도는 보령 관창산업단지 내에서 전기차 폐배터리 재사용·재활용 기술 개발, 장비·기반 구축, 실증 등을 추진한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이 주관하고 충남테크노파크,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한국전지연구조합, 순천향대 등이 참여한다. 세부 사업은 전기차 실주행 기반 배터리·차량 데이터 플랫폼 개발, 사용 후 배터리 재사용 응용제품 검증 기술 개발, 리튬이온전지 최적 재활용 공정 기술 개발 등이다. 올해부터 4년 동안 국비 150억 원을 포함해 모두 300억 원을 투입한다.
도는 이번 사업이 탈석탄 지역 대체 산업 발굴·육성의 성공 모델이 되고, 빅데이터 기반 자원 재활용 시스템 구축으로 저탄소 산업 구조 전환을 앞당길 것으로 기대한다. 도와 보령시가 지난해부터 보령시 주포면 관산리 일대에서 추진 중인 '자동차 튜닝산업 생태계 조성 사업'과 연계 효과도 클 것으로 내다봤다.
자동차 튜닝산업 생태계 조성은 2025년까지 5년간 253억 원을 투입해 내연기관 자동차를 전기차로 개조하고 성능 평가 기반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유재룡 도 미래산업국장은 "국내외 전기차 수요에 따라 폐배터리도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사용 후 배터리 활용 산업 육성이 시급한 상황"이라며 "새롭고 편리한 방식의 배터리 재사용·재활용 프로세스를 개발, 충남을 사용 후 배터리 산업 중심지로 만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내 등록 전기차 수는 2013년 1464대에서 2015년 5712대, 2017년 2만5108대, 2019년 8만9918대, 지난해 10월 20만5162대로 해마다 급증하고 있다.
전기차용 배터리는 초기 대비 용량이 70% 이하로 떨어질 때 교체가 필요한 점을 고려하면 전기차 폐배터리 발생량은 올해 1099개, 내년 2천355개, 2024년 4831개, 2025년 8321개, 2026년 1만7426개, 2027년 2만9508개 등으로 예상된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