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배너

임플란트 재수술, 어떤 경우?

URL복사

치아는 음식을 씹고 삼키는 등의 저작활동에 관여하는 부위이다. 때문에 노화나 각종 구강 질환, 예기치 않은 사고 등으로 치아를 상실하였다면 임플란트 등 이를 대체하는 치료를 받는 게 좋다.


관련 전문의들은 임플란트를 계획하고 있다면 상태에 따른 맞춤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한데, 보형물을 잇몸 뼈에 식립하는 시술로 3개월 이상의 치료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들은 자칫 식립될 자리에 시술되지 못하면 부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식립 후 관리가 소홀할 경우 주변 조직에 염증이 생기는 등의 원인으로 수명이 달라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노현기 에스플란트치과병원 원장은 “잇몸뼈의 양이 부족한 상태에서 무리하게 식립할 경우 픽스처 노출과 흔들림, 탈락 현상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이때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지 않으면 재수술까지 이어질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사전에 재수술을 예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시에는 의료진을 통해 탈락의 정확한 원인을 파악한 뒤 재수술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이어 “부작용에 의한 재수술은 처음 식립보다 더 까다롭고 어려울 수 있다”며 “특히 광범위한 골파괴가 동반된 경우라면 어려운 치료가 예상되는 만큼 3D-CT 등 다양한 정밀 검사 장비, 체계적인 사후관리 및 안전시스템 등을 확인하고 맞춤형 수술 계획을 수립하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