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을 보호하고 있던 연골이 점차 닳아 없어지며 통증과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주로 노화에 의한 퇴행성 변화에 의해 발생하지만, 외상, 비만, 무리한 운동, 잘못된 자세 등으로 인해 최근 젊은 층의 환자 수도 늘어나고 있다.
관련 전문의들에 따르면 이 질환은 초기나 중기에 발견 시 약물, 주사, 프롤로, 체외충격파 등 비교적 간단한 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하지만 연골의 대부분이 닳아 무릎 통증이 극심해진 말기의 경우 무릎 인공관절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이 수술은 손상된 연골을 제거 후 인체에 무해한 특수 금속 및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인공관절을 삽입한다. 삽입된 인공관절은 기존 연골을 대체해 관절 사이의 마찰을 줄여 추가적인 손상을 막고, 운동 범위의 회복을 돕는다.
이들 전문의는 인공관절 수술 시 하지의 정렬과 삽입 위치가 중요하다고 말한다. 고관절에서 발목까지 하지의 정렬을 정확히 맞춰 수술을 진행해야 정상적인 움직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에 최근에는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네비게이션, 로보닥, 3D시뮬레이션 맞춤형 인공관절 등 다양한 기법으로 수술이 진행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연세사랑병원 고용곤 병원장은 “3D 시뮬레이션 맞춤형 인공관절의 경우, 3차원 시뮬레이션을 활용해 무릎의 정확한 형태를 구현하고, 개인의 무릎 형태에 맞춤화 된 수술도구인 PSI(Patient Specific Instrument)를 제작하는 수술법이다. 절삭 부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고, 미리 하지 정렬 축을 계산하여 수술 시간이 짧은 편에 속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 수술에 3세대 인공관절을 접목한 방법이 환자들에게 적용하고 있다. 3세대 인공관절은 기존보다 다양한 크기와 두께의 인공관절로 자기 몸에 맞는 디자인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개인의 무릎 크기와 손상도를 관절 디자인에 반영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이 수술은 정교함이 수술 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인공관절 삽입 시 오차범위를 줄이는 것이 관건”이라며 “환자의 종합적인 상태를 정확히 파악해 알맞은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