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배너

“환절기에 심해지는 다리통증, 하지정맥류일 수도”

URL복사

완연한 봄소식을 전하고 있지만, 아침저녁으로는 아직 쌀쌀한 날씨가 지속되고 있다. 이처럼 일교차가 심한 계절에는 하지정맥류와 같은 혈관 질환 발생할 수도 있다.


이 질환은 정맥 내부 판막이 망가지면서 심장으로 전달되어야 하는 혈액이 다리로 역류하는 질환이다. 혈액이 다리에 고여 있는 상태가 지속되기 때문에 많이 움직이거나 격렬한 운동을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쉽게 피로해지고 종아리가 퉁퉁 부어오르며 혈관이 피부 겉으로 돌출되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원인은 다양하다. 롱부츠나 레깅스와 같은 꽉 조이는 의류 착용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평소 오랜 시간 서 있거나, 앉아 있는 생활습관으로 원활한 혈액순환을 방해해 정맥 내 압력을 높여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게 된다.


특히, 하지정맥류는 푸르스름한 혈관이 피부 바깥으로 튀어나오면 마치 거미줄처럼 엉켜 있는 모양을 하게 된다.


증상은 △다리가 당기고 저린다 △발이 시리고 차갑다 △벌레가 기어 다니는 느낌이다 △쥐가 나고 다리가 무겁다 △핏줄이 울퉁불퉁 튀어나와 있다 △다리가 쉽게 붓는다 △발바닥이 아프고 다리가 뜨겁다 △다리에 혈관이 올라와 보이거나 만져진다 등이다.


관련 전문의들에 따르면 이 질환은 자연적으로 증상이 나아지는 것이 아니며 피부가 착색되거나 피부염, 혈전, 궤양 등과 같이 다리 건강에 합병증이 발병할 수 있다. 어느 정도 질환이 진행되고, 혈관이 피부 겉으로 드러나 보이는 증상이 나타난다면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할 수 있다고 한다.


센트럴흉부외과 김승진 원장은 “혈관초음파검사 진행 후 비교적 초기라고 판단되면 모세혈관 확장증을 치료하는 혈관경화요법 등으로 비교적 간단하게 치료할 수 있다. 다만, 상태가 악화된 경우는 정맥 내 레이저수술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김승진 원장은 “치료와 함께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습관을 가지는 것도 도움이 된다. 평소 까치발을 들거나 다리를 구부렸다 펴는 스트레칭 등의 가벼운 운동은 혈액 순환을 도와 혈관 주변의 근육을 튼튼하게 만들고 충분한 휴식을 통해 질환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배너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