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일반뉴스

배너

[2022 스마트제조 대전망] 스마트 제조 생산성 책임지는 SW 바로 알기

URL복사
[#강추 웨비나] 설계 산업의 미래 다가가기: AI기능 및 신기능 업무에 적용하기 (6/12)

 

15일 오후, 스마트 제조 소프트웨어에 대한 모든 것 공개

 

(주)첨단이 오는 2월 15일(화)부터 17일(목)까지 총 3일간 제조산업의 스마트화를 총망라하는 '2022 스마트제조 대전망 온라인 컨퍼런스(이하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스마트 제조 구현을 위해서는 정부에서는 정책으로 뒷받침하고, 현장에서는 다양한 혁신기술과의 융합이 필요하다. 특히, 전방위적으로 확대되는 클라우드는 스마트 제조에서도 필수요소로 여겨지고 있다. 

 

제1회로 개최되는 2022 스마트제조 대전망 온라인 컨퍼런스는 24명의 각 분야별 전문가들이 정부의 정책은 물론, 스마트 제조 기술과 솔루션의 트렌드와 올해 각 분야를 전망한다. 이를 통해 2022 대한민국의 스마트 제조 방향을 제시한다. 


컨퍼런스 첫째날인 15일 오후에는 개별 세션이 진행되는데, 핵심 주제는 '스마트 제조 소프트웨어'다. 이 솔루션은 시의적절한 지표 및 대시보드를 활용한 공장 관리로 조치에 대한 심층 분석 및 전략적 계획이 가능하다. 

 

이에 컨퍼런스에서는 대표적인 스마트 제조 소프트웨어인 CAD/CAM, 시뮬레이션, ERP, MES, PLM, APS/SCM 등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 스마트 제조 구현을 위해 스마트 제조 소프트웨어를 제대로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첫 번째 발표는 안랩 황재훈 부장이 'OT/ICS 보안 이슈에 대한 효율적 대응 방안'이라는 주제로, 최근의 OT/ICS 보안 사고 동향과 OT/ICS 보안을 위한 고려사항, 유스케이스를 통한 효율적인 대응 방안을 소개한다. 

 

두 번째 발표에서는 KSTEC 조한민 전문위원이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위한 SyncPlan APS 솔루션'이라는 주제로, without/with APS, SyncPlan APS 솔루션, 적용 사례를 차례로 공유할 예정이다. 

이어 영림원소프트랩 이지해 수석컨설턴트는 '스마트제조혁신의 데이터통합의 기반 ERP'라는 주제로, 스마트제조에 필수, 데이터 통합의 중심인 ERP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와 업무 최적화를 위한 ERP 필수 선정 요건, ERP를 활용한 구축사례 및 데이터 분석 등을 공개한다. 

끝으로, (주)이즈파크 CAE Tech 도성환 이사가 '스마트 제조 환경에서 CAE의 역할과 활용'이라는 주제로, CAE의 이해와 역할, 제조산업에서 CAE의 폭넓은 활용, 스마트 제조를 위한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해 발표를 진행한다. 
 

한편, 2022 스마트제조 대전망 온라인 컨퍼런스는 (주)첨단이 주최하며, 코엑스, 영림원소프트랩, 안랩, 한국헥사곤메트롤로지, 블루프리즘, 터크코리아, 크레아폼, 코그넥스, 유니버설로봇, 스트라타시스, 버넥트, 원프레딕트가 후원한다. 

 

컨퍼런스 사전 등록은 두비즈(duBiz)에서 진행 중이며, 사전 등록 신청자는 이메일로 참여 링크를 받게 된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