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배너

무릎에 이상 증세 반복?...반월상연골 파열 의심

URL복사

건강에 자신이 있는 사람들은 신체에 통증이 느껴져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방치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특히 무릎에 통증이 반복되어도 별다른 대응을 하지 않기도 하는데, 지속되는 무릎 통증은 무릎 구조물 손상의 신호일 수 있으므로 정확하게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무릎 관절을 구성하고 있는 구조물 중에 하나인 반월상연골은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과 같은 기능을 한다. 또한 무릎 관절이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도 하고 있다. 

 


평소에 하체를 많이 사용하거나 격렬한 스포츠 활동을 자주 하는 편이라면 반월상연골의 파열을 주의하는 게 좋다. 무릎에 가해지는 직접적인 충격이나 무릎이 비틀어지거나 비정상적인 방향으로 꺾어지는 부상 등이 주요 발생 원인이기 때문이다. 


또한 중장년층일수록 퇴행성 변화로 인해 조직이 약화되어 작은 충격에도 연골이 쉽게 손상될 수 있다. 그러므로 평소 무릎 관리를 위해 무릎 관절에 부담이 가는 자세나 동작은 가급적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은 “반월상연골 파열이 발생하면 무릎에 통증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압통이 생기며, 무릎을 움직이는 것이 불편해진다. 또한 다리에 갑자기 힘이 빠지기도 하므로 이와 같은 증상이 있다면 병원에 가서 정확하게 진료 및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권장된다”고 말했다.


김상범 원장은 또 “파열된 범위가 크기 않고, 무릎 통증도 가볍다면 약물 복용 및 주사 요법, 운동요법 등의 비수술적 치료를 적용하여 호전을 기대한다”면서 “그렇지만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의 극심한 무릎 통증이 계속되거나, 조직의 파열 범위가 넓고 향후 파열이 더 진행될 가능성이 높을 때는 수술적 치료가 고려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수술은 찢어진 조직을 절제하거나 봉합하는 과정을 거친다. 봉합술 및 절제술의 방식은 반월상연골의 파열된 위치나 모양, 정도에 의해 각각 적용되며, 만약 남아있는 연골이 거의 없다면 이식수술도 시행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