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배너

계단 운동과 무릎통증

URL복사

계단을 오르는 운동은 걷는 것보다 효과가 높으며, 허벅지와 종아리 근육을 강화시키는 데 큰 도움을 준다. 그렇지만 계단을 내려갈 때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체중을 실린 상태로 계단을 내려가는 것은 무릎 연골인 골연골과 반월상연골판에 손상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골연골은 무릎뼈의 끝부분에 자리한 구조물로써 뼈의 마찰과 마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반월상연골판은 무릎 관절면 사이에 있는 구조물이다. 반월상연골판은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과 같은 기능을 하며, 무릎 관절이 안정적으로 움직이는 데에도 기여한다. 

 


무릎 골연골 및 반월상연골판은 무릎에 자극이 반복적으로 가해지거나 무릎 관절이 과하게 비틀리는 등 강한 충격이 받을 때 쉽게 파열될 수 있다. 


이 연골판이 손상되면 무릎통증의 재발이 잦아지고, 무릎이 붓는 등의 증세가 나타난다. 또한 무릎에 힘이 제대로 들어가지 않거나, 찢어진 조각이 무릎 관절에 끼어 들어가면서 무릎을 움직일 때마다 무엇인가 걸리는 느낌을 받기도 한다.


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은 “무릎 골연골에 심한 손상이 있다면 병변 부위에 미세천공술이나 카티스템과 같은 수술을 고려할 수 있다. 이들은 골연골 재생 수술로 골연골의 파열 양상에 따라 각각 적용된다”고 말했다.


김상범 원장은 “무릎 반월상연골판은 스스로 재생이 어려운 조직으로 파열된 조직을 봉합하거나 절제하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며 “무릎 구조물의 손상이 경미하다면 약물이나 주사 요법과 같은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증상이 나타난 초기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권장된다”라고 덧붙였다.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