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배너

국내 온라인 쇼핑몰 최강자 쿠팡, 美상장 착수...작년 매출 13조로 2배↑, 적자는 축소

URL복사
[무료 웨비나] 빠르고 직관적인 강력한 아날로그 시뮬레이션 'MPLAB® Mindi™ 아날로그 시뮬레이터' 왜 주목받고 있을까요?? (5/23)

[헬로티]


국내 온라인 쇼핑몰 업계 최강자인 쿠팡이 12일 미국 증시 상장을 공식화했다.


그동안 "적절한 때가 되면 기업공개(IPO)를 추진한다"고 밝혀왔던 쿠팡은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2019년의 두 배 가까운 매출 성장을 이뤄낸 지금이 상장의 적기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쿠팡은 지난해 유일하게 전국 단위로 익일 배송이 가능한 인프라를 갖춘 덕에 온라인 쇼핑몰 중에서도 코로나19 사태의 최대 수혜자로 꼽힌다.


실제 쿠팡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제출한 상장 신청 서류에서 지난해 매출이 119억7천만 달러(약 13조2천500억 원)라고 밝혔다. 이는 2019년의 7조1천여억 원보다 약 91% 늘어난 규모다.


적자 규모는 4억7천490만 달러(약 5천257억 원)로, 2019년 7천205억 원보다 약 1천500억 원 정도 줄였다. 누적 적자는 여전히 수조 원대에 이르지만 2018년을 정점으로 적자를 꾸준히 줄여가는 모습이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미국 IPO 시장의 투자 열기가 가라앉지 않고 있는 점도 지금 상장을 추진하는 배경이 된 것으로 보인다. 쿠팡은 상장에 성공하면 대규모 자금 조달을 통해 지금까지 해왔던 공격적인 투자를 계속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2010년 소셜커머스로 출발한 쿠팡은 직매입과 자체 배송 인력을 이용한 빠른 배송 서비스인 '로켓배송'을 도입하며 국내 전자상거래 업계에서 독보적인 존재로 자리 잡았다.


쿠팡은 그동안 일본 소프트뱅크로부터 30억 달러(약 3조3천억 원)를 투자받아 '로켓배송'에 필요한 물류 인프라 등에 과감한 투자를 해왔다.


공격적인 투자 전략은 외형 성장을 가져왔지만 한편으로 적자 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이런 상황을 타개하고 투자를 계속 확대하기 위해 미국 증시 상장을 통해 추가 자금 조달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 꾸준히 제기됐다.


쿠팡은 2019년부터 차기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 후보로까지 거론됐던 케빈 워시 전 미국 연준 이사를 영입하는 등 미국 증시 상장을 준비해 왔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해 보고서에서 "온라인 시장 내 쿠팡의 경쟁력은 지속해서 높아질 것"이라면서 "쿠팡의 추가적인 자금 유치와 상장이 모두 충분히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