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배너

코딧, 2025 대선 대응 위한 정책 모니터링 플랫폼 출시

URL복사

 

기업과 기관이 선제적으로 정책 변화를 포착하고 대응하도록 지원해

 

코딧이 29일 '2025 대통령 선거 정책 모니터링 플랫폼'을 출시하며 급변하는 정치·입법 환경 대응 지원에 나섰다. 

 

이번 서비스는 대통령 탄핵 인용 이후 조기 대선 체제로 전환된 상황에서 주요 정당의 후보 선출이 본격화하는 가운데, 기업과 기관이 선제적으로 정책 변화를 포착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마련됐다.

 

코딧의 새 플랫폼은 2025 대선 주요 키워드를 기반으로 자동 설정되며, 대선 관련 언론 보도, 법안 발의, 의원 SNS 등 다양한 소스를 AI가 초 단위로 실시간 수집·업데이트해 제공한다. 이를 통해 기업, 기관, 국회 및 정부 부처 담당자들은 변화하는 정책 신호를 놓치지 않고 즉각 대응할 수 있다.

 

특히 코딧은 대선 기간 동안 정책 공백과 정치권 재편 등 복합적 리스크에 대비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발표한 '대통령 탄핵 인용과 향후 대선 전망' 리포트에서는 짧은 대선 일정에 따른 정책 불확실성 심화와 국내외 리스크 증대를 주요 변수로 지목하며, 지속적인 정책 모니터링의 중요성을 제언한 바 있다.

 

정지은 코딧 대표는 "대선을 앞두고 각 정당의 공약은 물론 주요 정책, 법안, 뉴스 흐름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코딧은 AI 기술을 통해 기업과 기관이 필요한 정책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보하고 복잡한 정책 환경에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 플랫폼은 코딧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대선 기간 동안 주요 정책 이슈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과 함께 하루 최대 2회 맞춤형 알림 리포트가 제공된다. 필요 시에는 전문가 분석 인사이트도 추가로 제공된다. 또한, 대선 종료 후에는 별도의 절차 없이 신정부 정책 모니터링으로 전환되어, 디지털, 공정거래, ESG 등 핵심 분야별 정책 변화 추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코딧은 현재 AI 기반 법·정책 모니터링 플랫폼을 운영하며, 부설 글로벌정책실증연구원을 통해 AI, ESG, 헬스케어·제약, 순환경제 분야 입법 및 정책 동향을 분석하고 있다. 최근에는 미국 특허를 취득하며 해외 주요 싱크탱크 및 기관과의 협력도 확대하고 있다. 향후에는 국회, 정부, 지자체를 대상으로 한 맞춤형 정책 리포팅 AI 에이전트 고도화에도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