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배너

중기부, 스마트제조 정책혁신 논의...“전문기업 지정제도 필요”

URL복사

 

국내 중소 제조기업들의 인공지능(AI) 활용 분야를 다양화하고 ‘전문기업 지정제도’ 도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중소벤처기업부는 9일 서울 중구 서울스퀘어에서 ‘스마트제조 정책혁신 라운드테이블’을 열고 이런 내용을 논의했다. 인공지능 기술혁신 시대에 중소제조업의 경쟁력 제고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된 라운드테이블에는 제조 분야 인공지능 기술 전문가들과 산업계, 학계, 지원기관 관계자 등 40여명이 참석했다.

 

김주미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수석 연구위원은 제조 중소기업의 인공지능 활용 실태를 발표하며 “글로벌 제조기업들은 이미 다양한 영역에서 인공지능을 활발히 활용하고 있으나, 국내 중소 제조기업은 여전히 제품 생산 가치사슬의 일부 영역에서만 제한적으로 도입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중소 제조기업의 전후방 산업 전반으로 인공지능 적용을 확대하고 적용 분야 역시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상현 산업연구원 디지털·인공지능 전환생태계 연구실장은 전문기업 지정제도의 필요성과 운영 방향, 기대효과 등에 대한 설문조사 내용을 발표했다. 전문기업 지정제도는 각 분야에서 기준에 맞는 기업들을 지정해 지원하는 것이다.

 

중기부는 지난해 10월 경제장관회의에서 발표한 ‘스마트제조혁신 생태계 조성 방안’의 후속 조치로 산업연구원과 함께 ‘스마트제조 전문기업 지정제도 도입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스마트제조 전문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고 스마트제조산업 각 부분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한 지원 기반 마련을 위해 ‘스마트제조산업 육성법’ 제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 실장은 “스마트제조산업에서 전문기업 지정제도 도입은 공급, 수요 기업 간 신뢰성 확보, 안정적 협업 가능성의 증대 등 긍정적 효과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며 “스마트제조산업을 구성하는 분야가 품목·서비스별로 다양하므로 업종 특성에 맞는 전문기업 지정요건을 수립하고, 전문기업이 자발적으로 역량 강화를 유도할 수 있는 유인 체계 마련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회의에 참석한 기업들도 스마트제조 전문기업 지정제도의 도입과 관련해 시기적절하다고 평가했다. 기업들은 또 업종별 특성이 반영된 공급기업 역량진단 체계와 전문기업 지정기준이 마련돼야 하며 기준을 미충족한 기업에 대한 성장 사다리 정책도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권순재 중기부 제조혁신과장은 “중소기업과 학계가 협력해 중소제조업의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접근성과 활용도를 높이고 한국 스마트제조산업 생태계의 강점을 극대화하기 위한 정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