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차용 혼잡상황 주행지원 시스템 구성 [자료=산업부]
[헬로티]
한국과 프랑스가 자율주행차 시장 개척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프랑스 경제재정부는 26일 서울에서 ‘제3차 한불 신산업 기술협력 포럼’을 개최하고, 미래 유망 신산업인 자율주행차 시장에 공동 진출하기 위해 저속정체구간 자율주행기술(TJA)을 공동개발하기로 했다.
이번 공동개발에는 한국의 한양대학교, 르노삼성, LG전자, 자동차부품연구원과 프랑스의 르노, 발레오, 국립정보통신대학교(ENST)가 참여하고 향후 3년간 한·불 정부가 각각 연 5억 원씩 총 30억 원을 지원해, 르노차에 탑재 가능한 자율주행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이다.
양국은 개발된 기술을 르노 전기차(ZOE)에 설치, 양국의 도로에서 시험 평가한 후 소형 전기차의 옵션품목으로 양산을 추진함으로써 자율주행차 시장을 개척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이번 포럼에서는 이러닝, 에너지 신산업, 컨택트리스 서비스(Contactless Service), 사물인터넷(IoT) 등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분야로 한불간 공동 기술협력을 확대하기 위하여 분야별 전문가 작업반도 구성하기로 했다.
강성천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프랑스의 과학기술력과 우리나라의 응용·생산기술을 결합하면 신산업 분야에서 상호 윈윈할 수 있는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며, “이번 자율주행차 공동연구를 시작으로, 미래를 이끌어갈 신기술 분야에서 양국 간 공동기술개발 노력이 확대되어 구체적인 성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ueghqwe@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