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특례시, '트라이포트 물류 허브' 도약 위한 청사진 밝혔다

2025.05.17 11:21:01

김재황 기자 eltred@hellot.net

 

창원특례시가 진해신항과 가덕도신공항 건설을 핵심 축으로 하는 트라이포트(Tri-port: 항만-공항-철도) 물류 시스템 구축을 통해 해양·항만 국제물류 중심도시로의 도약을 본격화하고 있다. 진해 수도동 일대에 건설되는 진해신항(2045년 완공 예정)과 인근 가덕도에 들어설 신공항(2029년 개항 예정)이라는 대규모 국책사업을 발판 삼아 미래 물류 지형 변화에 적극 대응하겠다는 전략이다.

 

서울 여의도 면적의 3배에 달하는 884만㎡ 규모로 조성될 진해신항은 최첨단 지능화·자동화 시스템을 갖춘 스마트 항만으로 건설된다. 2023년 남방파제 공사를 시작으로 순차적인 대형 공사 발주가 진행 중이며 2029년 3선석, 2032년 6선석 개장을 목표로 총 21선석이 2045년까지 완공될 예정이다. 진해신항은 동북아 물류 허브로서의 위상을 갖추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진해신항과 연계하여 동남권의 새로운 관문 역할을 할 가덕도 신공항은 667만㎡ 규모에 24시간 운영되는 국제공항으로 계획되었다. 부지 조성 공사 기본 설계가 진행 중이며 설계 적격 판정 후 올해 우선 시공분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 항만, 공항, 철도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트라이포트 운송 시스템은 물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신속·안전한 국제 물류를 가능케 하는 미래 경제 성장의 핵심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창원시는 이러한 트라이포트 기반의 경제적 편익을 시로 유도하기 위해 다각적인 방안을 추진 중이다. 현재 진행 중인 '창원 중심 트라이포트 기반 국제물류특구 구축 방안 수립 용역'을 통해 항만·공항 배후단지 기반 시설 구축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바탕으로 특별법 제정 및 정부의 국제물류특구 국가 기본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창원특례시는 스마트 항만물류·산업에 필요한 전문 인력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지난 2월 '항만·물류 전문 인력 양성 종합계획' 수립 용역을 완료했으며 관계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인력 양성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항만·물류 비즈니스센터 유치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물동량 증가에 대비한 항만 배후단지 확보 역시 중요한 과제이다. 현재 운영 중인 신항 배후단지만으로는 늘어나는 물동량 수요를 감당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창원특례시는 웅동 배후단지 2단계(2027년 준공 예정)와 북컨테이너 배후단지 2단계(2035년 준공 목표) 공사를 진행하는 동시에 웅천동 일원 698만여㎡에 달하는 대규모 항만 배후단지 조성을 위한 행정 절차를 시작했다. 개발제한구역 해제를 통해 신속한 개발이 가능해진 이 지역에는 물류·제조·연구 시설과 함께 지원 기반 시설 및 근린생활 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다.

 

육상 물류 흐름 개선을 위해 철도망 확충도 활발히 추진 중이다. 창원 중심의 영남권 30분대 철도망 구축을 목표로 동대구~창원~가덕도 신공항 고속철도, 창원산업선, 진해신항선, 마산신항선, 녹산-진해 광역철도 사업을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시키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창원특례시 관계자는 “진해신항과 가덕도 신공항 시대를 맞아 국제물류 중심지로 도약하기 위한 이러한 핵심 사업들을 향후 있을 정책 논의 및 선거 공약에 반영시키기 위해 전방위적인 노력을 펼칠 계획”이라고 밝혔다.

 

헬로티 김재황 기자 |

Copyright ⓒ 첨단 & Hellot.net





상호명(명칭) : (주)첨단 | 등록번호 : 서울,자00420 | 등록일자 : 2013년05월15일 | 제호 :헬로티(helloT) | 발행인 : 이종춘 | 편집인 : 김진희 | 본점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 127, 3층, 지점 : 경기도 파주시 심학산로 10, 3층 | 발행일자 : 2012년 4월1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유활 | 대표이사 : 이준원 | 사업자등록번호 : 118-81-03520 | 전화 : 02-3142-4151 | 팩스 : 02-338-3453 | 통신판매번호 : 제 2013-서울마포-1032호 copyright(c) HelloT all right reserved.